6월 경상수지 두 달 연속 흑자…수입 더 줄어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고 해외에서 받은 배당도 늘면서 지난 6월 경상수지가 두 달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해외여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서비스수지 적자 폭은 오히려 더 커졌고, 상반기 전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작년 같은 기간의 10분의 1로 축소됐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 경상수지는 58억7천만달러(약 7조6천75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4월(-7억9천만달러) 적자 이후 5월(19억3천만달러)에 이어 2개월째 흑자 기조가 유지됐다.

다만 올해 들어 6월까지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는 24억4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248억7천만달러)과 비교해 약 90%나 급감한 상태다.

6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나눠보면, 상품수지(39억8천만달러)가 4월 이후 3개월 연속 흑자였다.

수출(541억4천만달러)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9.3%(55억5천만달러) 줄었다. 앞서 작년 9월 수출이 23개월 만에 감소한 뒤 10개월 연속 뒷걸음이다.

특히 석유제품(통관 기준 -40.5%), 반도체(-28.0%), 화학공업 제품(-12.8%), 철강제품(-3.2%)이 부진했고 지역별로는 중국(-19.0%), 동남아(-17.9%), 일본(-3.7%), 미국(-1.8%)으로의 수출이 위축됐다.

다만 승용차 수출액은 1년 전보다 60.7% 급증했다.

수입(501억5천만달러)은 10.2%(56억9천만달러) 줄었는데, 감소액이나 감소율이 모두 수출을 웃돌았다.

특히 에너지 수입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 수입이 작년 같은 달보다 18.5% 급감했다. 원자재 중 석탄, 원유, 석유제품 수입액 감소율은 각각 45.3%, 28.6%, 19.7%에 이른다.

반도체(-19.2%)와 반도체 제조장비(-0.4%) 등 자본재 수입도 9.1% 줄었지만, 승용차(75.0%) 등 소비재 수입은 6.8%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6억1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5억9천만달러)이나 직전 5월(-9억1천만달러)보다 적자 규모가 눈에 띄게 커졌다.



(자료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