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재철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앤드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사장)이 25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전의 ‘개인 맞춤형 기능’을 강화한 ‘업(UP)가전 2.0’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솔 기자
류재철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앤드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사장)이 25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전의 ‘개인 맞춤형 기능’을 강화한 ‘업(UP)가전 2.0’ 비전을 소개하고 있다. 이솔 기자
LG전자가 스마트폰의 앱을 지우고 깔듯 필요에 따라 기능을 추가하고 없애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선보인다. 이렇게 새롭게 출시하는 가전제품은 일시불 구매는 불가능하며 월별 구독형태로만 판매된다. 지금까진 하드웨어 제품을 잘 만드는 데 집중했다면, 앞으론 제품을 활용한 서비스와 구독 등 무형(無形)의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게 LG전자의 전략이다.

개개인에 맞춘 ‘초개인화’ 가전

류재철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앤드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사장)은 25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업(UP)가전 2.0’을 공개했다.

류 사장은 “고객들은 각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가전의 기능이 다르다”며 “개개인의 생활 방식에 꼭 맞춘 가전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처음 출시한 업가전은 스마트폰 OS(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듯, 이미 구매한 가전에도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가전이다.

이날 출시된 업가전 2.0은 ‘초개인화’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스마트폰에선 필요한 앱을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삭제할 수 있는데, 가전에서도 이런 선택권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하고, 자주 안 쓰는 기능은 지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반려견을 키우는 소비자라면 여러 번 탈수로 반려견 털을 깨끗이 제거하는 세탁 코스를 추가하는 식이다. 류 사장은 “같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본인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앱을 사용한다”며 “가전에서도 자신에게 꼭 맞는 기능만 골라서 쓸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3년 이상 자체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한 가전용 인공지능(AI)칩인 DQ-C칩과 OS를 적용한다. 새로운 기능은 이날 출시되는 세탁기와 건조기에 처음으로 적용하고, 앞으로 냉장고 공기청정기 등 다양한 가전으로 확대한다.

구독 모델로 사업체질 전면 전환

가사 부담을 줄이는 서비스 업체와도 제휴한다. 런드리고와 제휴해 비대면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LG생활건강을 통해서는 세제 배달, 대리주부를 통해선 집청소와 냉장고 정리를 돕는 식이다. 지금까지 6개 분야에서 제휴가 이뤄졌고 앞으로 업체를 더 늘려나간다는 방침이다. 가전제품이 제공하지 못하는 가사는 서비스로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업가전 2.0부터는 구독 방식으로만 가전을 판매한다. 하드웨어인 가전제품과 비(非)하드웨어인 서비스를 통합하는 구독 형태다. 3~6년의 구독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소비자 입장에선 초기 제품 구매비용 부담을 줄이고, 비대면 세탁 등 다른 가사 서비스도 따로 각각 신청할 때보다 저렴해 경제적”이라고 설명했다.

트롬 오브제컬렉션 세탁기 21㎏ 용량을 기준으로 3년 구독을 설정하면 매월 제품 이용 금액은 5만900원이 나온다. 가전 관리와 세척, 사후서비스(AS)가 모두 포함된다. 여기에 필요에 따라 비대면 세탁, 집청소 등 제휴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류 사장은 “구독 모델로 오히려 가전제품 교체 주기가 짧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적어도 지금 고객의 절반 이상이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LG전자는 생활가전부터 구독 사업을 강화하면서 지난 12일 선언한 ‘사업구조 대전환’을 이루겠다는 계획이다. 조주완 LG전자 사장은 앞서 “무형·전장·신사업 등 3대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바꾸는 한편 사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2030년까지 50조원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