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준비하는 청년 2년째 감소…3명 중 2명은 첫 일자리 관둬(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무원 지망생 20만명 하회…일반기업체 희망자는 17만3천명으로 늘어
청년 64% '첫 월급 200만원 미만'…그만둔 청년 46% '보수 등 불만족' 공무원 등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층이 2년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3명 중 2명은 근로 여건 불만족 등으로 첫 일자리를 그만뒀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 취업시험 준비자 2년째 감소…공무원 준비 줄고 일반기업체 늘어
지난 5월 기준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416만4천명)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는 63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7만1천명 감소했다.
청년 취업시험 준비자는 지난해에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데 이어 2년째 줄었다.
이에 따라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6.9%에서 올해 15.2%로 하락했다.
통계청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 당시 학교에 다녀 취업 준비 등을 충분히 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상위 학교로 진학하고자 하는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취업 준비보다는 대학원이나 로스쿨 등으로 진학하려는 경향이 더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별로 보면 일반직공무원이 18만6천명으로 2만4천명 줄었다.
취업시험 준비자 가운데 공무원 준비 비중도 29.9%에서 29.3%로 하락했다.
반면 일반기업체를 준비하는 청년은 16만8천명(23.8%)에서 17만3천명(27.3%)으로 늘었다.
◇ 첫 일자리 그만둔 취업 청년 66%…근로여건 불만족 46%
졸업 후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394만7천명 가운데 이직 경험자는 260만1천명으로 65.9%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해 1.1%포인트 상승했다.
이직 경험자는 첫 일자리를 그만두고 현재 다른 일자리에 종사하거나, 실업과 비경제활동인 상태의 사람을 말한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근로 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이 45.9%로 가장 많았다.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가운데 첫 일자리에 취업할 당시 임금이 200만원 미만인 비율은 64.4%였다.
10명 중 6명은 첫 직장의 월급이 200만원 미만이었다는 의미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해 200만원 미만 비중은 3.5%포인트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첫 일자리가 숙박 및 음식점업(15.5%)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 졸업 후 첫 일자리 가질 때까지 10개월 소요…시간제 일자리 비중 역대 최대
졸업 후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의 경우 첫 직장의 근속기간은 평균 1년 6.6개월로 1년 전보다 0.2개월 감소했다.
첫 일자리로 임금근로자 형태의 일자리를 가진 청년이 취업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0.4개월로 0.4개월 줄었다.
고졸 이하가 1년 2.8개월로 대졸 이상(8.2개월)보다 길었다.
저학력일수록 취업할 때까지 더 시간이 걸렸다는 의미다.
근로형태별로 보면 첫 일자리 가운데 시간제 일자리인 경우가 1년 전보다 0.7%포인트 늘어난 21.4%였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역대 최대 비중이다.
전일제 일자리는 76.5%로 0.4%포인트 하락했다.
◇ 일자리 전공 불일치 청년 39%…청년층 고용률 하락
졸업 후 취업 경험자 가운데 최근 일자리와 전공과의 관련성이 '매우 불일치'하다는 비율이 38.6%로 가장 높았다.
다만 '그런대로 일치'가 24.7%, 매우 일치가 25.9%로 '일치'의 비중(50.6%)이 불일치(매우 불일치+약간 불일치·49.4%)보다 다소 높았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취업자는 400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9천명 감소했다.
고용률은 47.6%로 0.2%포인트 하락했다.
20∼24세 고용률이 46.9%로 1.7%포인트 하락했지만, 25∼29세 고용률이 73.8%로 1.5%포인트 상승했다.
/연합뉴스
청년 64% '첫 월급 200만원 미만'…그만둔 청년 46% '보수 등 불만족' 공무원 등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층이 2년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3명 중 2명은 근로 여건 불만족 등으로 첫 일자리를 그만뒀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3년 5월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 취업시험 준비자 2년째 감소…공무원 준비 줄고 일반기업체 늘어
지난 5월 기준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416만4천명)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는 63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7만1천명 감소했다.
청년 취업시험 준비자는 지난해에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데 이어 2년째 줄었다.
이에 따라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시험 준비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16.9%에서 올해 15.2%로 하락했다.
통계청 임경은 고용통계과장은 "코로나19 당시 학교에 다녀 취업 준비 등을 충분히 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상위 학교로 진학하고자 하는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취업 준비보다는 대학원이나 로스쿨 등으로 진학하려는 경향이 더 나타났다는 설명이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별로 보면 일반직공무원이 18만6천명으로 2만4천명 줄었다.
취업시험 준비자 가운데 공무원 준비 비중도 29.9%에서 29.3%로 하락했다.
반면 일반기업체를 준비하는 청년은 16만8천명(23.8%)에서 17만3천명(27.3%)으로 늘었다.
◇ 첫 일자리 그만둔 취업 청년 66%…근로여건 불만족 46%
졸업 후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394만7천명 가운데 이직 경험자는 260만1천명으로 65.9%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해 1.1%포인트 상승했다.
이직 경험자는 첫 일자리를 그만두고 현재 다른 일자리에 종사하거나, 실업과 비경제활동인 상태의 사람을 말한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근로 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이 45.9%로 가장 많았다.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가운데 첫 일자리에 취업할 당시 임금이 200만원 미만인 비율은 64.4%였다.
10명 중 6명은 첫 직장의 월급이 200만원 미만이었다는 의미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해 200만원 미만 비중은 3.5%포인트 하락했다.
산업별로는 첫 일자리가 숙박 및 음식점업(15.5%)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 졸업 후 첫 일자리 가질 때까지 10개월 소요…시간제 일자리 비중 역대 최대
졸업 후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의 경우 첫 직장의 근속기간은 평균 1년 6.6개월로 1년 전보다 0.2개월 감소했다.
첫 일자리로 임금근로자 형태의 일자리를 가진 청년이 취업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0.4개월로 0.4개월 줄었다.
고졸 이하가 1년 2.8개월로 대졸 이상(8.2개월)보다 길었다.
저학력일수록 취업할 때까지 더 시간이 걸렸다는 의미다.
근로형태별로 보면 첫 일자리 가운데 시간제 일자리인 경우가 1년 전보다 0.7%포인트 늘어난 21.4%였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후 역대 최대 비중이다.
전일제 일자리는 76.5%로 0.4%포인트 하락했다.
◇ 일자리 전공 불일치 청년 39%…청년층 고용률 하락
졸업 후 취업 경험자 가운데 최근 일자리와 전공과의 관련성이 '매우 불일치'하다는 비율이 38.6%로 가장 높았다.
다만 '그런대로 일치'가 24.7%, 매우 일치가 25.9%로 '일치'의 비중(50.6%)이 불일치(매우 불일치+약간 불일치·49.4%)보다 다소 높았다.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취업자는 400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9천명 감소했다.
고용률은 47.6%로 0.2%포인트 하락했다.
20∼24세 고용률이 46.9%로 1.7%포인트 하락했지만, 25∼29세 고용률이 73.8%로 1.5%포인트 상승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