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째 감소…'주가 하한가 사태' 여파에 MMF 9.5조원 줄어
수시입출식예금 8.8조원↓…수신금리 상승전환에 정기예금 3.4조원↑
증시 불안·기업 자금수요 확대에 5월 통화량 9조7천억원↓
지난 5월 통화량이 9조7천억원 줄면서 3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 하한가 사태 여파 등으로 주식시장이 불안해지면서 머니마켓펀드(MMF)에서 자금이 큰폭 빠져나갔고, 기업 자금 수요 확대로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역시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이 14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5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천785조4천억원으로 전달 대비 0.3%(9조7천억원) 줄었다.

전월 대비 M2 통화량은 올해 1월(-0.1%) 9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가 2월(0.3%) 반등했으나, 3월(-0.2%)과 4월(-0.4%), 5월(-0.3%)까지 석 달 연속 감소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SG증권발 주가 하한가 사태 등으로 인한 주식시장 불안 여파로 법인 자금을 중심으로 MMF가 9조5천억원 감소, 4월(-1조8천억원) 대비 감소 폭이 대폭 커졌다.

기업 자금 수요 확대 등으로 4월 1조1천억원 증가했던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역시 5월 8조8천억원 줄면서 통화량 감소 요인이 됐다.

반면 지난 4월 3조4천억원 줄었던 정기 예·적금은 수신금리 상승에 힘입어 한 달 만에 3조4천억원 증가로 전환했고, 수익증권 역시 기타펀드를 중심으로 2조8천억원 늘어났다.

예금은행 순수저축성예금 수신금리(신규)는 지난 4월 3.41%에서 5월 3.50%로 상승한 바 있다.

증시 불안·기업 자금수요 확대에 5월 통화량 9조7천억원↓
경제주체별로는 예금은행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가계 및 비영리단체에서 6조2천억원이 늘었고, 기업 역시 5조6천억원 증가했다.

반면 기타 부문은 4조9천억원, MMF가 포함된 기타금융기관 역시 4조8천억원 준 것으로 집계됐다.

5월 통화량은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2.3% 늘어나 전월(+3.2%)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했다.

5월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천179조2천억원)도 전월 대비 0.7%(8조9천억원) 줄어 2022년 6월 이후 1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5월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전월 대비 0.1% 감소했고, 광의유동성(L·말잔)은 0.2% 증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