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9세 한국 남성, 2명 중 1명은 '미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5∼49세 한국 남성의 절반 가량은 결혼 경험이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여성 비율도 30%를 넘었다.
통계청이 '인구의 날'인 11일 기존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2천건으로, 1970년(29만5천건)보다 10만3천건 감소했다.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년 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5.5건이 줄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다. 남녀 간 평균 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년(2.7세)보다 소폭 줄었다.
독신 남성·여성의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다. 25∼49세 남성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2010년 35.3%에서 2015년 40.2%, 2020년 47.1%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년 22.6%, 2015년 27.1%, 2020년 32.9%로 계속 늘었다.
결혼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감소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9천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 48만5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 출산율은 2012년 1.30명에서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다.
15∼49세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2.5%로 집계됐다. 추가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 자녀 수는 1.68명이었다.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지속 상승해 지난해 54.6%를 기록했다.
다만 가사노동에서의 성별 격차는 여전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부 중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과 아내 모두 20%가량에 그쳤다.
성인의 평균 가사노동 시간도 2019년 기준으로 남자가 56분, 여자가 3시간 13분으로 차이가 컸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도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54분, 아내는 3시간 7분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한국 인구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1년 4천만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했다.
노인 인구 비중은 현재 18.4%에서 2040년 34.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70년 한국 인구는 3천80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 비중은 46.4%까지 늘어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생산가능인구(46.1%)의 비중보다 높은 수준이다.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15세 이상 외국인은 130만2천명으로 2012년보다 33만8천명 늘었다. 다문화 가구는 2021년 기준 38만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1.7%를 차지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통계청이 '인구의 날'인 11일 기존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2천건으로, 1970년(29만5천건)보다 10만3천건 감소했다.
인구 1천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년 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5.5건이 줄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다. 남녀 간 평균 초혼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년(2.7세)보다 소폭 줄었다.
독신 남성·여성의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다. 25∼49세 남성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2010년 35.3%에서 2015년 40.2%, 2020년 47.1%로 지속해서 증가했다.
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년 22.6%, 2015년 27.1%, 2020년 32.9%로 계속 늘었다.
결혼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감소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9천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 48만5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 출산율은 2012년 1.30명에서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다.
15∼49세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2.5%로 집계됐다. 추가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 자녀 수는 1.68명이었다.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지속 상승해 지난해 54.6%를 기록했다.
다만 가사노동에서의 성별 격차는 여전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부 중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과 아내 모두 20%가량에 그쳤다.
성인의 평균 가사노동 시간도 2019년 기준으로 남자가 56분, 여자가 3시간 13분으로 차이가 컸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도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54분, 아내는 3시간 7분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한국 인구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1년 4천만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했다.
노인 인구 비중은 현재 18.4%에서 2040년 34.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70년 한국 인구는 3천80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 비중은 46.4%까지 늘어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봤다. 생산가능인구(46.1%)의 비중보다 높은 수준이다.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는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15세 이상 외국인은 130만2천명으로 2012년보다 33만8천명 늘었다. 다문화 가구는 2021년 기준 38만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1.7%를 차지했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