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의 분기 말 연체율이 2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오르는 등 금융권 전반 건전성이 나빠지고 있다. 계속된 고금리 여파에 한계기업이 부실화 할 가능성이 큰만큼 은행권은 자산건전성 관리에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5일 '국내은행 건전성 위협요인·향후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은행 분기별 연체율은 지난해 6월 말 이후 상승세로 돌아섰으며, 지난 3월 말에는 0.33%를 기록해 2020년 6월 말 이후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 연체율도 지난 3월 말 기준 5.1%로 2017년 6월 말 이후 5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용카드사 연체율도 지난해 말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최근 금융권 건전성 악화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가계와 기업 등 차입자들의 이자 부담이 많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짧은 기간에 금리가 높은 상승률을 보여 기업들이 고금리에 적응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데다,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거나 복귀가 어려울 수 있어 한계기업의 부실화 가능성이 커졌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이 점차 증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높아졌다"면서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며 이들이 버티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은 지난 2014년 이후 26∼28% 수준을 유지했으나 2018년 이후 30%를 웃돌았다.

지난 2022년에는 35.1%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30.9%)보다 높았다.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코로나19 관련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제도 중 상환유예가 오는 9월 종료될 예정이라는 것도 자산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상환유예 지원 대상 여신은 전체 잔액(85조3천억원)의 7.7%인 6조6천억원이며 상환계획서에 따라 오는 2028년 9월까지 분할 상환을 할 수 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이것만 보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으나,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고 경기회복이 늦어질 경우 부실이 이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