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I로 포토샵도 '뚝딱'…"아직 한계도 분명"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과 발전으로 누구나 포토샵으로 사진을 편집할 수 있게 됐지만 이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도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AI를 활용한 포토샵 도구 덕분에 소프트웨어를 다룰 줄 몰라도 사진을 재밌게 변형할 수 있지만 반대로 위조 범죄나 사이버 범죄 등이 발생할 위험도 커질 수 밖에 없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그래픽 애플리케이션 업체 어도비사의 포토샵은 최근 AI 기능이 추가된 '생성형 채우기'를 선보였다. 이 기능은 기존 이미지의 일부를 수정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대체하고 싶은 부분을 선택하고 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이 기능은 실제 사진과 더 비슷한 이미지를 생성하며, 기존 AI 도구 등으로 잡티를 보정하고 사진을 꾸미는 수준을 넘어선다고 WP는 평가했다.

포토샵의 생성형 채우기는 사진 내 배경에서 필요 없는 물체나 사람을 제거하거나 구름·나무·도시 풍경 등을 원본 사진에 추가하는 작업을 능숙하게 한다. 또 원본 사진에는 없는 물체를 추가하는 것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 심지어 AI는 태양의 각도와 그림자, 물에 반사되는 모습까지도 구현해 낸다.

AI 도입 전에는 이런 작업을 하려면 사용자가 직접 사진 속 물체를 잘라내고 추가할 이미지를 찾고 조명과 색상을 조정하는 일까지 해야 했다. 물론 프로그램도 능수능란하게 다룰 줄 알아야 한다.

이 같은 사진 조작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가 보는 이미지를 얼마나 더 신뢰할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고 매체는 전했다.

실제로 지난달 미국 워싱턴DC 국방부 청사(펜타곤) 근처에서 폭발이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가짜 사진이 트위터에 돌자 금융시장에 잠시 영향을 주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사진은 펜타곤과 닮은 건물 주변에서 검은 연기 기둥이 치솟은 모습을 담은 것으로, AI로 만든 가짜 사진이었다.

그러나 적어도 지금은 기술의 한계 때문이든 포토샵이 악용을 막기 위해 심어둔 장치에 의해서든 이 기술이 최악의 경우로 사용되는 상황을 막을 수는 있다고 WP는 진단했다.

어도비사는 생성형 채우기를 추가한 포토샵 베타버전을 출시할 때는 AI로 변경된 이미지라는 표시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음란물과 같이 서비스 약관을 위반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AI 기능이 차단된다고 전했다.

WP는 "AI 기술을 통해 장단점을 같이 얻을 수 있다"며 "인간으로서 우리는 장점은 극대화하고 피해는 최소화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토론토대 싱크탱크 연구원 존 스콧-레일턴 트위터 캡처)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