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도 동반 강세…원/달러 환율 7원 넘게 하락
코스피, 美 물가상승 둔화에 반등 출발…2,500대 회복(종합)
코스피가 11일 미국의 물가상승 압력 둔화에 투자심리가 되살아나며 전날 무너졌던 2,500선을 하루 만에 회복했다.

이날 오전 9시 27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2.90포인트(0.52%) 오른 2,509.41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9.06포인트(0.36%) 오른 2,505.57에 개장했다.

전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대한 경계심리로 2,500선이 무너졌지만, 이날은 개장부터 2,500선 위로 다시 올라선 뒤 2,505∼2,510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은 각각 72억원, 103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외국인은 135억원어치를 순매도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7.4원 내린 1,317.4원에 출발한 뒤 장 초반 1,310원대 중후반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4월 CPI 상승률이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소식에 나스닥지수가 1% 넘게 올랐다.

금리 인상에 민감한 성장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04%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45% 상승했다.

다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09% 떨어졌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4월 CPI는 전년 동월보다 4.9% 올랐다.

이는 2021년 4월 이후 최소폭 상승이며, 월가 전망(5.0%)도 소폭 하회하는 결과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전년 동월 대비 5.5% 상승한 것으로 집계돼 중앙은행의 금리 동결 내지 인하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민감도는 갈수록 낮아질 것"이라며 "경기둔화와 은행권 위기 등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부작용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국면으로 이행하는 중"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금일 국내증시는 미국 CPI 결과에 따른 나스닥 강세, 원/달러 환율 하락 등 증시 친화적인 재료들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는 대부분의 종목이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0.31%), SK하이닉스(0.23%), 삼성바이오로직스(0.26%), LG화학(0.56%), 삼성SDI(0.30%), 네이버(0.95%) 등이 소폭 오르고 있으며, 현대차(-0.48%)와 기아(-0.56%)는 약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다.

업종별로는 보험(-0.59%), 음식료품(-0.53%), 의료정밀(-0.55%), 전기가스업(-0.38%)을 제외한 전 업종이 강세다.

특히 철강 및 금속(1.66%), 건설업(1.34%) 등의 오름 폭이 두드러진 편이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9.72포인트(1.17%) 상승한 839.46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6.86포인트(0.83%) 오른 836.60에 출발한 뒤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235억원, 429억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은 647억원 매도 우위다.

시총 상위권에서도 대부분 종목이 오름세다.

에코프로비엠(2.59%), 에코프로(5.25%) 등 2차전지주가 크게 오르는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0.27%), HLB(0.14%), 셀트리온제약(0.36%), 카카오게임즈(0.51%) 등은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