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최대 금리차에 한국은행, 고민 깊어지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일(현지시간) 또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으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역대 최대 수준인 1.75%포인트(p)까지 벌어졌다.

그만큼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그러나 오는 25일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이 단순히 내외 금리차만 고려해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크지 않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까지 내려온 데다, 무엇보다 0%에 가까운 분기 성장률이 이어지는 가운데 금리 추가 인상이 경기 하강과 금융 불안을 부추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결정 회의까지 남은 3주 동안 역대 최대 한·미 금리차 탓에 원/달러 환율이 치솟고 자금이 대거 빠져나갈 경우, 한은도 0.25%p 인상을 다시 고민할 수밖에 없다.



1.75%p는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는 최대 한·미 금리 역전 폭이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여러 차례 "한미 금리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고 강조해왔지만 커지는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가치 하락)과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을 무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특히 최근 1,300원 선을 넘어선 환율이 금리 격차 등의 영향으로 더 뛸 경우, 한은도 추가 금리 인상을 심각하게 검토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원화가 절하(가치 하락)될수록 같은 수입 제품의 원화 환산 가격은 높아지는 만큼, 힘겹게 정점을 지난 물가에 다시 기름을 부을 수도 있다.

이미 지난 2월과 4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융통화위원 5명은 "3.75% 기준금리 가능성까지 열어둬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시장은 환율과 외국인 자금 동향에 큰 변화가 없다면, 한은 금통위가 이달 25일에도 2월, 4월에 이어 세 번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동결의 가장 강력한 근거는 불안한 경기·금융 상황이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3%)은 민간소비 덕에 겨우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했고, 1∼2월 경상수지는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통관기준 무역수지도 4월(-26억2천만달러)까지 14개월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한은 역시 연준과 마찬가지로 1년 반 넘게 이어온 금리 인상 행진의 부작용에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다.



아직 국내 은행의 연체율이나 여러 건전성, 복원력 지표가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는 게 한은의 분석이지만, SVB사태로 글로벌 금융 불안이 이어지는 가운데 계속 금리 인상으로 압박하면 취약한 저축은행이나 카드사(여신전문금융회사) 등에서부터 유동성 부족이 나타나 은행 등 전체 금융기관을 흔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2월 이후 14개월 만에 3%대(3.7%)로 떨어져 한은의 연속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