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가 1년여 동안 적자를 이어오는 가운데서도 수지 개선에 일익을 담당해 온 K-콘텐츠를 주력 수출사업으로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8일 "반도체 등 몇몇 소수 품목에 편중된 산업구조가 수출 부진을 심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며 K-콘텐츠 육성을 통한 무역수지 적자 극복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경연 "K-콘텐츠, 무역적자 줄일 주력 수출산업으로 키워야"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게임, 영화, 방송, 출판, 음악 등 11개 부문에 해당하는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은 146조9천억원, 고용은 65만7천여명으로 각각 전년 대비 7.6%와 1.6% 증가했다.

수출액은 130억1천만달러로 전년보다 1.5% 늘었고 2016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11.6%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광고 부문을 제외한 전 분야에서 수출액이 수입액을 초과해 흑자를 기록했다.

흑자 규모가 큰 분야는 게임(83억6천53만달러), 음악(7억6천124만달러), 방송(6억5천724만달러) 등이었다.

수출 지역과 분야가 치우친 것은 현재 K-콘텐츠의 한계라고 한경연은 지적했다.

2020년 기준 콘텐츠 수출의 71.5%가 아시아 지역에 편중됐고, 전체 수출액의 절반 이상이 게임에서 발생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올해 장르별 지원 예산도 방송영상(1천192억원), 게임(612억원), 음악(308억원) 등 특정 분야에 치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콘텐츠산업 중 지식정보(27.8%), 광고(21.4%) 등 비중이 큰 분야는 현재까지 영미 선진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이 선전하는 게임, 음악, 영화 등 분야는 세계 콘텐츠 시장의 약 10% 내외"라며 "수출이 부진한 광고, 애니메이션, 출판 등의 분야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 콘텐츠산업이 글로벌 5위권에 안정적으로 진입하려면 콘텐츠 플랫폼과의 매칭을 통해 양질의 콘텐츠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창작물들이 가치를 인정받고 그에 따른 권리와 권한을 제대로 보장받도록 국가 차원에서 지적재산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