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경쟁 중심에 선 한국, 적극적 중재자로 나서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프레드 버그스텐 PIIE 원장, 세계경제연구원 포럼서 기조연설
앤 크루거 전 IMF 부총재 "보호무역주의 확대가 세계경제 침체 초래할 것" 프레드 버그스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명예원장은 미·중 경쟁의 중심에서 한국이 적극적 중재자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그스텐 원장은 26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세계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창립 30주년 특별 국제콘퍼런스'에 온라인으로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버그스텐 원장은 "향후 글로벌 경제는 미·중 패권 경쟁 속 지도자 없는 미래를 맞이할 위기에 놓여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양국이 안보와 정치적 영역에서는 의견이 다르더라도 경제적 문제에 있어서는 협력해야 한다는 '기능적 디커플링' 개념을 강조했다.
버그스텐 원장은 특히 한국이 미·중 경쟁의 중심에 있는 만큼, 적극적 중재자로 기능적 디커플링을 추진해야 한다며 "한국이 다른 주요 중소국들과 함께 세계를 재앙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했다.
앤 크루거 전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새로 확대되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경험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세계 경제 침체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크루거 전 부총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충격 속에서 지구촌은 폐쇄가 아닌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다자간 세계무역기구(WTO) 접근 방식을 복원하고 국제 경제가 보호주의에서 개방과 자유화로 다시 회귀해야 한다"며 "한국과 같이 위기 속에서도 자국 보호를 위한 폐쇄정책을 최소화한 국가들이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메간 설리반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 스티븐 프라이스 PIIE 선임연구원, 유키코 후카가와 와세다대학 교수 등도 기조 발표자로 나서 녹색성장, 기후변화, 글로벌 교역의 미래 등에 대해 논의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도 이날 행사에 참석했다.
한 총리는 이날 축사에서 "현재는 경제와 안보가 긴밀하게 연결돼있는 시대"라며 지속 가능 성장이 위협받는 위기 속에서 "저탄소 경제체제로의 전환은 탄소 중심 한국 경제·산업에 큰 위협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라고 말했다.
허 명예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각종 자원과 물류 공급 불안이 이어지고, 미·중을 중심으로 경제 블록화가 심화해 에너지 자원 생산·공급망 안정이 세계 경제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한국 산업·경제구조의 특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전적이면서도 현실성 있는 목표,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산업계의 선도 기술 확보 노력과 정부의 과감한 정책지원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앤 크루거 전 IMF 부총재 "보호무역주의 확대가 세계경제 침체 초래할 것" 프레드 버그스텐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명예원장은 미·중 경쟁의 중심에서 한국이 적극적 중재자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그스텐 원장은 26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세계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창립 30주년 특별 국제콘퍼런스'에 온라인으로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버그스텐 원장은 "향후 글로벌 경제는 미·중 패권 경쟁 속 지도자 없는 미래를 맞이할 위기에 놓여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양국이 안보와 정치적 영역에서는 의견이 다르더라도 경제적 문제에 있어서는 협력해야 한다는 '기능적 디커플링' 개념을 강조했다.
버그스텐 원장은 특히 한국이 미·중 경쟁의 중심에 있는 만큼, 적극적 중재자로 기능적 디커플링을 추진해야 한다며 "한국이 다른 주요 중소국들과 함께 세계를 재앙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했다.
앤 크루거 전 세계은행(WB)·국제통화기금(IMF) 부총재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새로 확대되면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경험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한 세계 경제 침체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크루거 전 부총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충격 속에서 지구촌은 폐쇄가 아닌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다자간 세계무역기구(WTO) 접근 방식을 복원하고 국제 경제가 보호주의에서 개방과 자유화로 다시 회귀해야 한다"며 "한국과 같이 위기 속에서도 자국 보호를 위한 폐쇄정책을 최소화한 국가들이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메간 설리반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 스티븐 프라이스 PIIE 선임연구원, 유키코 후카가와 와세다대학 교수 등도 기조 발표자로 나서 녹색성장, 기후변화, 글로벌 교역의 미래 등에 대해 논의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허동수 GS칼텍스 명예회장도 이날 행사에 참석했다.
한 총리는 이날 축사에서 "현재는 경제와 안보가 긴밀하게 연결돼있는 시대"라며 지속 가능 성장이 위협받는 위기 속에서 "저탄소 경제체제로의 전환은 탄소 중심 한국 경제·산업에 큰 위협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기회"라고 말했다.
허 명예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각종 자원과 물류 공급 불안이 이어지고, 미·중을 중심으로 경제 블록화가 심화해 에너지 자원 생산·공급망 안정이 세계 경제의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한국 산업·경제구조의 특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전적이면서도 현실성 있는 목표,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산업계의 선도 기술 확보 노력과 정부의 과감한 정책지원을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