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발굴 조사 성과 발표…경복궁 중건 당시 모습·규모 확인
계단 없어지고 전차 선로 들어서고…옛 부재 활용해 10월까지 복원
4단계 변화 겪으며 사라진 광화문 월대…"복원 위한 자료 확보"
일제가 훼손한 경복궁 광화문 앞 월대(越臺, 月臺)의 규모와 과거 변화 과정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를 복원·정비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가 조사한 발굴 성과와 향후 복원 계획을 25일 공개했다.

월대는 궁궐의 중심 건물인 정전(正殿) 등 주요 건물에 설치한 넓은 대(臺)를 뜻한다.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돈화문 등에 있었는데 궁궐 정문에 난간석을 두르고 기단(基壇·건축물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뒤 터보다 한층 높게 쌓은 단)을 쌓은 건 광화문 월대가 유일하다.

고종(재위 1863∼1907)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남긴 기록인 '영건일기'(營建日記)에는 1866년 3월 3일 '광화문 앞에 월대를 쌓았다'는 내용이 있으나, 일제강점기를 지나며 해체돼 사라졌다.

4단계 변화 겪으며 사라진 광화문 월대…"복원 위한 자료 확보"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광화문 월대의 규모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과거 광화문과 월대를 촬영한 사진 자료는 여럿 있었으나, 정확한 모습이나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 결과 광화문 월대는 길이 48.7m, 폭 29.7m 규모로 육조 거리를 향해 뻗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5년 발간된 '경복궁 광화문 원위치 복원 및 주변 정비 기본계획' 보고서에서 월대의 길이와 폭을 각각 52m, 29.5m로 추정한 것과 비교하면 규모를 더욱 명확히 한 셈이다.

임금이 지나가는 길인 어도(御道)의 옛 모습도 가늠할 수 있었다.

광화문 월대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 임금과 백성이 만나 소통하는 장소였는데, 중앙 문과 이어지는 공간에는 너비가 약 7m로 추정되는 어도 흔적이 확인됐다.

4단계 변화 겪으며 사라진 광화문 월대…"복원 위한 자료 확보"
문화재청은 "월대의 서편과 달리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동편 모습을 통해 경복궁 중건 당시 월대의 전체 모습을 확인했다"며 "복원을 위한 실물 자료를 확보했다는 게 가장 큰 성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로 월대를 만든 방법과 변화 과정을 확인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월대는 길이가 120∼270㎝에 이르는 잘 다듬어진 장대석을 이용해 2단의 기단을 쌓고, 내부에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흙을 교차로 쌓아 주변보다 높게 대를 만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어도와 연결되는 중앙에는 계단의 좌·우측을 장식하거나 마감하기 위해 놓는 소맷돌을 쓴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어도 계단지(터)는 일제강점기 전차 선로에 의해 일부 훼손됐으나, 소맷돌을 받쳤던 돌인 지대석이 확인돼 월대 원형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4단계 변화 겪으며 사라진 광화문 월대…"복원 위한 자료 확보"
월대는 축조된 이후 크게 4단계의 변화를 거친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고종 대 월대를 만들었던 1단계에서는 남쪽에 세 부분으로 나뉜 계단이 있었으나, 이후 2단계에서는 가운데 부분의 어도 계단이 경사로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전차 선로가 들어서면서 월대 모습은 본래 모습을 점차 잃어갔다.

3단계 변화 과정에서 계단은 동·서 외곽으로 빠졌고 경사로 부분이 넓어졌다.

전차 선로가 복선(겹줄)으로 들어섰던 마지막 단계에서는 월대를 이루던 난간석이 철거되고 도로로 바뀐 것으로 파악된다.

문화재청은 올해 10월까지 복원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4단계 변화 겪으며 사라진 광화문 월대…"복원 위한 자료 확보"
문화재청은 1920년대 해체된 이후 경기 구리 동구릉 등으로 옮겼을 것이라 여겨지는 난간석, 하엽석(荷葉石·난간석 아래에 일정 간격으로 둔 연잎 모양이 조각된 받침석) 등 부재를 재사용할 예정이다.

옛 모습을 찾은 월대는 올해 가을 궁중문화축전에서 볼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전통 재료와 기법을 적용해 월대를 진정성 있게 복원할 예정"이라며 "삼군부와 의정부 터 일부 등 주변 정비 사업과도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4단계 변화 겪으며 사라진 광화문 월대…"복원 위한 자료 확보"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