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뿔쇠오리를 위협한다는 지적을 받아 제주 마라도에서 반출된 고양이 보호 관리를 문화재청과 제주도가 끝까지 책임질 것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마라도 고양이 보호 책임 회피하는 문화재청·제주도 규탄"
'철새와 고양이 보호 대책 촉구 전국행동'(이하 전국행동)은 20일 제주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마라도 고양이를 끝까지 보호하겠다던 약속을 저버리는 문화재청과 제주도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전국행동은 "반출 강행 당시 고양이를 보호하고 입양 보내겠다고 호언장담하던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반출이 마무리되자 컨테이너와 펜스, 기초 식량만 제공했을 뿐 그 외 모든 책임을 시민단체에 떠넘겼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전 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은 졸속 행정으로 인해 고양이 돌봄 용품 대다수를 시민단체 후원금으로 조달해야 했고, 청소와 사료 급여 등 돌봄 역시 시민단체의 몫이 됐다"고 규탄했다.

또한 "야생성이 남은 고양이들을 대상으로 노력을 기울인 결과 약 10마리는 입양 보낼 수 있는 수준이 됐으나 입양 문의는 거의 없는 형편이며, 나머지 고양이는 여전히 사람에 대한 경계가 높아 입양이 이뤄지기까지는 요원하다"고 우려했다.

유산본부 측이 언론을 통해 '컨테이너 냉난방이 안 돼 고양이 건강이 걱정된다.

여름 전 분산 보호를 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적절한 입양처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다른 곳으로 보내겠다는 말은 마라도에서 고양이를 쫓아냈듯 유산본부에서도 치워버리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문화재청과 제주도는 고양이들을 대책 없이 떠밀어낼 궁리를 즉각 중단하고 한여름 폭염에 고통받을 고양이와 고양이를 돌보는 시민들에 대한 안전조치, 고양이 입양 활성화 노력에 직접 나서라"라고 촉구했다.

문화재청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 뿔쇠오리 보호를 위해 앞서 지난 2∼3월 마라도에서 포획한 고양이 45마리를 제주도로 반출했다.

이 중 현재 40마리는 제주시 조천읍 세계자연유산센터에 마련된 보호시설에, 5마리는 임시보호처에 있다.

아직 입양이 성사된 고양이는 없다.

"마라도 고양이 보호 책임 회피하는 문화재청·제주도 규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