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기후 위기와 물 문제 해결 토론회'서 제안

광주 전남지역 가뭄 해결을 위해 정보통신기술로 다양한 수자원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워터그리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광주전남 최악 가뭄, 수자원 정보 통합해 극복하자"
30일 광주시의회에서 열린 '기후 위기와 물 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광주대 최재안 교수는 "영산강 하천수 취수와 농업용 댐과의 연계가 체계적으로 운영되도록 스마트워터그리드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 교수는 "스마트워터그리드 시스템은 하천수, 지하수, 해수 등 다양한 수자원 정보를 통합 관리해 수자원의 지역적·시간적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리적 특성상 추가로 대규모 상수원 개발을 할 수 없는 광주시가 기존의 수자원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업이다"고 강조했다.

한국수자원공사 이석준 팀장은 "장흥댐의 여유량을 주암댐과 연계해 공급하고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해수 담수화, 하수처리수 재이용으로 가뭄을 극복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어 국토환경연구소 최동진 소장은 "광주시와 지역주민이 물관리의 주체가 돼 하천 유역별 통합 물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회를 마련한 최지현 시의원은 "지속 가능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기본은 수질개선이다"며 "광주천, 황룡강, 영산강 수질 보전에 주력하고, 과학기술 활용을 비롯한 통합 물관리를 통해 기후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