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아파트 하늘로 하늘로…고층 상위 톱10 중 8개 부산에(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0층 이상 건축물 허가, 지방 99% 증가…수도권은 33% 줄어
롯데월드타워 6년째 1위…부산 엘시티 등 2~8위 휩쓸어
서울 주택 늙어간다…2채 중 1채는 30년 이상 노후건축물 비수도권 건물이 하늘로 치솟고 있다.
30층 이상 고층 건축 허가 면적이 수도권에서 33% 줄었지만, 지방에서는 2배가량 증가했다.
고층 건물 상위 10위 중 8개는 서울이 아니라 부산에 있다.
◇ 수도권 30층 이상 건축물 허가는 33% 감소
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2년 전국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은 1천665만4천㎡로 전년보다 40.4% 늘었다.
증가 폭이 2021년(32.3%)보다 커져 2년 연속 확대됐다.
수도권의 30층 이상 허가 면적은 351만6천㎡로 전년보다 33% 줄었지만, 지방은 1천313만7천㎡로 98.5% 증가했다.
고층 건물 허가 면적 자체도 지방에 78.9%가 쏠렸다.
최고층 건축물 상위 10위 중 8개는 부산에 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123층·555m)로, 2017년 준공 이후 6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으나, 2∼8위는 부산 고층 아파트가 휩쓸었다.
2019년 지어진 부산 해운대 엘시티(101층·412m) 3개 동이 2∼3위(타워A·B동이 공동 3위)였고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 3개 동(80·75·70층)은 각각 5·6·8위를 차지했다.
해운대 아이파크(72층), 부산 서구 힐스테이트이진베이시티아파트(69층)가 그 뒤를 따랐다.
서울 여의도 파크원(69층·318m)은 공동 9위였다.
지난해 아파트 허가 면적은 전년보다 19.3% 증가했는데, 수도권에서 19.9% 감소하고 지방에서 49.7% 늘었다.
현재 짓고 있는 건축물 중 높이 상위 10위를 따져보니, 1위인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만 서울에 있고, 나머지는 비수도권이다.
충남 당진에 짓는 현대제철 당진1철강산업단지 C1블럭 공장이 98층으로 예정돼 있고 충남 아산에는 70층짜리 생활숙박시설인 '한화포레나 천안아산역'이 지어진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에는 59층 주상복합 '수성범어W'가 공사 중이다.
◇ 서울 주택 늙어간다…54%가 30년 이상 노후건물
이런 가운데 서울의 건축물은 점점 늙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건축물 2개 중 1개는 준공 후 30년 이상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준공 후 30년 이상 된 건축물은 총 31만5천820동으로 전체(58만1천257동)의 54.3%를 차지했다.
전년에는 30년 이상 노후건축물이 50.4%였는데, 1년 새 3.9%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 중 노후 건물은 2021년 49.7%에서 지난해 54.3%로 절반을 넘어섰다.
전국 기준으로는 30년 이상 된 건축물이 전체의 41.0%다.
주거용 건물만 따져보면 30년 이상 건축물은 50.5%였으며, 상업용에선 31.0%, 교육 및 사회용에서는 22.9%로 나타났다.
연면적 기준으로 30년 이상 건축물 비율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 종로구(48.3%) 였고 대구 서구(45.3%), 대구 남구(44.2%), 부산 사하구(43.7%), 서울 노원구(43.6%)가 뒤를 이었다.
반대로 이 비율이 가장 낮아 '새 건물'이 많은 곳은 경기 용인 수지구(0.6%), 경기 파주(3.3%), 하남(3.5%), 김포(3.6%) 였다.
◇ 건물 연면적 증가율 4년 연속 낮아져
지난해 전국 건축물은 전년 대비 0.5% 늘어난 735만4천340동, 연면적은 1.9% 증가한 41억3천134만0㎡로 조사됐다.
작년에 증가한 건물 연면적을 모두 합하면 잠실야구장 2천852개 넓이에 이른다.
전국 건축물 동수와 연면적은 2, 3년 전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경기후행지표로 평가된다.
지난해 연면적 증가율은 2021년(2.4%)보다 줄었으며 2018년(3.1%) 이후 4년 연속 증가율이 낮아졌다.
국토부는 건물 동수보다 연면적 증가율이 더 큰 점에 비춰,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건축물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19억1천300만㎡(4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상업용이 9억1천504만㎡(22.1%)로 뒤를 이었다.
공업용은 4억4천842만㎡, 교육·사회용은 3억6천844만㎡로 집계됐다.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로는 아파트가 12억1천848만8천㎡(63.7%)로 가장 많고, 단독주택 3억3천207만9천㎡(17.4%), 다가구주택 1억7천164만㎡(9.0%), 다세대주택 1억3천222만6천㎡(6.9%), 연립주택 4천401만7천㎡(2.3%) 순이다.
시도별로 건축물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3.7%), 제주(35.6%), 경북(34.5%)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다가구주택은 대전(15.7%), 대구(13.7%), 제주(12.2%) 순으로 높으며 아파트는 세종(84.8%), 광주(75.7%), 부산(73.5%) 순이었다.
다세대주택은 서울(15.0%), 인천(12.0%), 제주(10.5%) 순으로 비율이 높다.
지난해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대비 허가 면적은 3.6% 증가했지만 착공은 18.7%·준공은 11.2% 감소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이 9.2% 증가했지만 착공과 준공이 각각 22.6%, 15.7% 감소했다.
상업용 건축물은 허가(-4.4%), 착공(-17.2%), 준공(-13.7%) 면적이 모두 줄었다.
/연합뉴스
롯데월드타워 6년째 1위…부산 엘시티 등 2~8위 휩쓸어
서울 주택 늙어간다…2채 중 1채는 30년 이상 노후건축물 비수도권 건물이 하늘로 치솟고 있다.
30층 이상 고층 건축 허가 면적이 수도권에서 33% 줄었지만, 지방에서는 2배가량 증가했다.
고층 건물 상위 10위 중 8개는 서울이 아니라 부산에 있다.
◇ 수도권 30층 이상 건축물 허가는 33% 감소
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2년 전국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은 1천665만4천㎡로 전년보다 40.4% 늘었다.
증가 폭이 2021년(32.3%)보다 커져 2년 연속 확대됐다.
수도권의 30층 이상 허가 면적은 351만6천㎡로 전년보다 33% 줄었지만, 지방은 1천313만7천㎡로 98.5% 증가했다.
고층 건물 허가 면적 자체도 지방에 78.9%가 쏠렸다.
최고층 건축물 상위 10위 중 8개는 부산에 있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123층·555m)로, 2017년 준공 이후 6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으나, 2∼8위는 부산 고층 아파트가 휩쓸었다.
2019년 지어진 부산 해운대 엘시티(101층·412m) 3개 동이 2∼3위(타워A·B동이 공동 3위)였고 해운대 두산위브더제니스 3개 동(80·75·70층)은 각각 5·6·8위를 차지했다.
해운대 아이파크(72층), 부산 서구 힐스테이트이진베이시티아파트(69층)가 그 뒤를 따랐다.
서울 여의도 파크원(69층·318m)은 공동 9위였다.
지난해 아파트 허가 면적은 전년보다 19.3% 증가했는데, 수도권에서 19.9% 감소하고 지방에서 49.7% 늘었다.
현재 짓고 있는 건축물 중 높이 상위 10위를 따져보니, 1위인 현대차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만 서울에 있고, 나머지는 비수도권이다.
충남 당진에 짓는 현대제철 당진1철강산업단지 C1블럭 공장이 98층으로 예정돼 있고 충남 아산에는 70층짜리 생활숙박시설인 '한화포레나 천안아산역'이 지어진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에는 59층 주상복합 '수성범어W'가 공사 중이다.
◇ 서울 주택 늙어간다…54%가 30년 이상 노후건물
이런 가운데 서울의 건축물은 점점 늙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건축물 2개 중 1개는 준공 후 30년 이상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준공 후 30년 이상 된 건축물은 총 31만5천820동으로 전체(58만1천257동)의 54.3%를 차지했다.
전년에는 30년 이상 노후건축물이 50.4%였는데, 1년 새 3.9%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주거용 건축물 중 노후 건물은 2021년 49.7%에서 지난해 54.3%로 절반을 넘어섰다.
전국 기준으로는 30년 이상 된 건축물이 전체의 41.0%다.
주거용 건물만 따져보면 30년 이상 건축물은 50.5%였으며, 상업용에선 31.0%, 교육 및 사회용에서는 22.9%로 나타났다.
연면적 기준으로 30년 이상 건축물 비율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 종로구(48.3%) 였고 대구 서구(45.3%), 대구 남구(44.2%), 부산 사하구(43.7%), 서울 노원구(43.6%)가 뒤를 이었다.
반대로 이 비율이 가장 낮아 '새 건물'이 많은 곳은 경기 용인 수지구(0.6%), 경기 파주(3.3%), 하남(3.5%), 김포(3.6%) 였다.
◇ 건물 연면적 증가율 4년 연속 낮아져
지난해 전국 건축물은 전년 대비 0.5% 늘어난 735만4천340동, 연면적은 1.9% 증가한 41억3천134만0㎡로 조사됐다.
작년에 증가한 건물 연면적을 모두 합하면 잠실야구장 2천852개 넓이에 이른다.
전국 건축물 동수와 연면적은 2, 3년 전 경제 상황을 반영하는 경기후행지표로 평가된다.
지난해 연면적 증가율은 2021년(2.4%)보다 줄었으며 2018년(3.1%) 이후 4년 연속 증가율이 낮아졌다.
국토부는 건물 동수보다 연면적 증가율이 더 큰 점에 비춰,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건축물 용도별로는 주거용이 19억1천300만㎡(4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상업용이 9억1천504만㎡(22.1%)로 뒤를 이었다.
공업용은 4억4천842만㎡, 교육·사회용은 3억6천844만㎡로 집계됐다.
주거용 건축물 세부 용도별로는 아파트가 12억1천848만8천㎡(63.7%)로 가장 많고, 단독주택 3억3천207만9천㎡(17.4%), 다가구주택 1억7천164만㎡(9.0%), 다세대주택 1억3천222만6천㎡(6.9%), 연립주택 4천401만7천㎡(2.3%) 순이다.
시도별로 건축물 면적 비율을 살펴보면 단독주택은 전남(43.7%), 제주(35.6%), 경북(34.5%)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다가구주택은 대전(15.7%), 대구(13.7%), 제주(12.2%) 순으로 높으며 아파트는 세종(84.8%), 광주(75.7%), 부산(73.5%) 순이었다.
다세대주택은 서울(15.0%), 인천(12.0%), 제주(10.5%) 순으로 비율이 높다.
지난해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대비 허가 면적은 3.6% 증가했지만 착공은 18.7%·준공은 11.2% 감소했다.
용도별로는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허가 면적이 9.2% 증가했지만 착공과 준공이 각각 22.6%, 15.7% 감소했다.
상업용 건축물은 허가(-4.4%), 착공(-17.2%), 준공(-13.7%) 면적이 모두 줄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