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설비 현대화 사업 추진 둘러싼 주민 반대는 넘어야 할 산

대전 지역 도시가스 공급업체인 CNCITY에너지(씨엔씨티에너지)가 최근 대전열병합발전 경영권을 인수하자 지역 사회에서는 시너지 효과 기대와 함께 일부 풀어야 할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도시가스업체의 대전열병합발전 인수로 대전 전력자립률↑ 기대
14일 두 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전열병합발전이 난방열원 공급 이외에도 전기를 생산·공급하는 에너지기업인 점을 고려하면 씨엔씨티에너지의 이번 인수로 현재 전력자립률이 전국 최하위(지난해 기준 2.6%)인 대전의 전력자립률이 지금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열병합발전 관계자는 "현재 대전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약 98%가 대전이 아닌 서해안에 위치한 발전소에서 나온다"면서 "두 기업이 합쳐지면 대전의 전력자립률이 30% 가까이 올라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씨엔씨티에너지는 두 기업의 노하우 공유를 통해 중복투자를 방지하거나 원료부담을 완화해 기업경쟁력을 높이는 등 집단에너지사업의 운영 효율화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기반을 마련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씨엔씨티 관계자는 "발전설비 현대화 사업 추진을 통해 지역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으로 환경오염물질 감축, 지역 에너지 자립도 증가, 고용 창출 등 다방면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기대 속에서도 노후화한 발전설비의 현대화 사업 추진을 둘러싼 일부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는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다.

대전열병합발전은 1997년에 준공해 노후화한 113㎽ 증기터빈발전을 495㎽ 가스복합화력발전(LNG)으로 증설하는 내용의 집단에너지 변경사업계획서를 2021년에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지만, 미세먼지·온실가스 증가 등 환경 오염을 우려한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에 부딪혀 차질을 빚어왔다.

이에 대해 대전열병합발전 관계자는 "데이터 검증 결과 오히려 환경 문제가 개선될 효과가 더 커서 2년간 주민들을 설득해왔다"며 "30년 사용 가능 연한 만료 시기가 도래하고 있는 만큼 주민의 더 많은 동의를 얻어 설비를 교체·증설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것"이라고 사업 추진 의지를 보였다.

인수 영향으로 가스요금이 오를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와 관련해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지역 가스회사가 지자체에 소매요금 검증을 받는데 시가 업체의 회계 검증 등을 엄격하게 진행한다면 문제 될 것이 없다"며 "기업 인수로 인한 비용이 도시가스 요금에 전가될 수 있는 구조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