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성장률 전망 올린 IMF, 한국 올해 전망치는 2.0→1.7% 내려(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 차례 연속 하향 조정…한국 전망치, '저성장' 일본 밑돌아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올해 세계 성장률 2.7→2.9%
"근원인플레 명확히 떨어질 때까지 금리 올리거나 유지해야"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0.2%포인트 올렸으나,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0.3%포인트 내렸다.
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10월 발표한 전망치(2.0%)에서 0.3%포인트 내린 수치다.
IMF는 작년 7월 전망 당시 올해 한국 성장률을 2.9%에서 2.1%로, 10월에는 2.1%에서 2.0%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세 차례 연속 성장률을 내렸다.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계속 낮추고 있는 것이다.
이는 장기간 저성장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1.8%)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IMF의 전망대로라면 우리 경제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일본의 성장률을 밑돌게 된다.
IMF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 낮고 한국은행(1.7%)과는 같다.
정부(1.6%),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보다는 높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도 2.7%에서 2.6%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IMF의 이번 전망은 전체 회원국이 아닌 주요 30여 개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한국 성장률 조정 근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반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국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으나,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예상 대비 견조한 소비와 투자 등이 상향 조정의 근거가 됐다.
IMF는 올해 미국 성장률을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중국은 4.4%에서 5.2%로 0.8%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IMF는 다만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에 따른 중국의 경제 회복 제약 가능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 등 경기 하방 위험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신흥국의 높은 부채 수준 등도 위험 요인으로 거론됐다.
IMF는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근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식량·에너지 취약층에 대한 선별지원을 강화하되 광범위한 재정 지원은 축소하는 등 점진적인 재정 긴축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주택가격 모니터링 및 비은행금융 부문 관리 감독 강화, 경제 분절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교역 확대, 저소득국 채무 재조정, 가상자산 관련 기준 마련 등도 권고 사항으로 거론됐다.
/연합뉴스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올해 세계 성장률 2.7→2.9%
"근원인플레 명확히 떨어질 때까지 금리 올리거나 유지해야"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0.2%포인트 올렸으나,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0.3%포인트 내렸다.
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10월 발표한 전망치(2.0%)에서 0.3%포인트 내린 수치다.
IMF는 작년 7월 전망 당시 올해 한국 성장률을 2.9%에서 2.1%로, 10월에는 2.1%에서 2.0%로 하향 조정한 데 이어 세 차례 연속 성장률을 내렸다.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계속 낮추고 있는 것이다.
이는 장기간 저성장에 시달리고 있는 일본(1.8%)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IMF의 전망대로라면 우리 경제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일본의 성장률을 밑돌게 된다.
IMF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 낮고 한국은행(1.7%)과는 같다.
정부(1.6%), 아시아개발은행(ADB·1.5%) 등보다는 높다.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도 2.7%에서 2.6%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IMF의 이번 전망은 전체 회원국이 아닌 주요 30여 개국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한국 성장률 조정 근거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반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 2.7%에서 2.9%로 0.2%포인트 올려 잡았다.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국의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으나, 중국의 경제 활동 재개(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감, 미국·유럽 등 주요국의 예상 대비 견조한 소비와 투자 등이 상향 조정의 근거가 됐다.
IMF는 올해 미국 성장률을 1.0%에서 1.4%로, 유로존은 0.5%에서 0.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중국은 4.4%에서 5.2%로 0.8%포인트나 올려 잡았다.
IMF는 다만 낮은 백신 접종률과 부족한 의료시설에 따른 중국의 경제 회복 제약 가능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경제 분절화 등 경기 하방 위험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기 회복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신흥국의 높은 부채 수준 등도 위험 요인으로 거론됐다.
IMF는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근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명확히 하락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거나 금리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식량·에너지 취약층에 대한 선별지원을 강화하되 광범위한 재정 지원은 축소하는 등 점진적인 재정 긴축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주택가격 모니터링 및 비은행금융 부문 관리 감독 강화, 경제 분절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교역 확대, 저소득국 채무 재조정, 가상자산 관련 기준 마련 등도 권고 사항으로 거론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