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1.7%로 하향…"경기침체 재진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30년간 3번째로 낮은 성장률 전망
세계은행(WB)이 올해 세계경제가 1.7% 성장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6월 전망보다 1.3%포인트나 하향 조정한 것으로,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침체를 겪은 2009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지난 30년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고물가, 고금리, 투자 감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전 세계적으로 경제 침체의 위험성이 커진 모습이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WB는 10일(현지시간)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을 통해 이같은 전망치를 발표했다.
WB는 매년 1월과 6월 두차례 세계경제전망을 내놓는다.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별도로 발표하지 않고 있다. 선진국은 고물가와 재정·통화 긴축정책, 에너지 공급불안 등으로 지난해 중반 이후 경제상황이 급격히 악화돼 성장률이 0.5%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은 식량·에너지 가격이 오른데다, 노동시장 경색도 영향을 미쳐 기존 전망보다 1.9%포인트 낮은 0.5%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1970년 이후 공식 침체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유로존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급등과 공급불안 등으로 전망치가 3.3%에서 0%로 대폭 하향조정되며 성장이 정체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흥·개도국도 선진국 성장 둔화로 외부수요가 약화되고 차입비용이 상승해 성장이 제약될 것으로 WB는 내다봤다.
다만 지난해 2.7% 성장률을 기록한 중국이 올해 4.3% 성장률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감소세를 일부 상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 경제와 개도국의 성장률은 작년 3.8%에서 올해 2.7%로 둔화할 것으로 봤다.
WB는 "2020년 코로나19 위기 이후 3년만에 경기침체 재진입 위험이 커진만큼 하방리스크 관리를 위한 국제공조가 강화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WB는 "추가긴축, 신흥개도국 금융취약성, 중국성장 둔화 등 경기침체 확산·불황 가능성이 커졌다"며고 "경기침체 위험 회피와 채무 부실화 방지에 중점을 둬 통화정책 협의, 취약계층 지원, 개도국 부채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
지난해 6월 전망보다 1.3%포인트나 하향 조정한 것으로, 금융위기와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침체를 겪은 2009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지난 30년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고물가, 고금리, 투자 감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전 세계적으로 경제 침체의 위험성이 커진 모습이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WB는 10일(현지시간)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을 통해 이같은 전망치를 발표했다.
WB는 매년 1월과 6월 두차례 세계경제전망을 내놓는다.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별도로 발표하지 않고 있다. 선진국은 고물가와 재정·통화 긴축정책, 에너지 공급불안 등으로 지난해 중반 이후 경제상황이 급격히 악화돼 성장률이 0.5%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은 식량·에너지 가격이 오른데다, 노동시장 경색도 영향을 미쳐 기존 전망보다 1.9%포인트 낮은 0.5%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1970년 이후 공식 침체 기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유로존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급등과 공급불안 등으로 전망치가 3.3%에서 0%로 대폭 하향조정되며 성장이 정체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흥·개도국도 선진국 성장 둔화로 외부수요가 약화되고 차입비용이 상승해 성장이 제약될 것으로 WB는 내다봤다.
다만 지난해 2.7% 성장률을 기록한 중국이 올해 4.3% 성장률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감소세를 일부 상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중국을 제외한 신흥 경제와 개도국의 성장률은 작년 3.8%에서 올해 2.7%로 둔화할 것으로 봤다.
WB는 "2020년 코로나19 위기 이후 3년만에 경기침체 재진입 위험이 커진만큼 하방리스크 관리를 위한 국제공조가 강화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WB는 "추가긴축, 신흥개도국 금융취약성, 중국성장 둔화 등 경기침체 확산·불황 가능성이 커졌다"며고 "경기침체 위험 회피와 채무 부실화 방지에 중점을 둬 통화정책 협의, 취약계층 지원, 개도국 부채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민정기자 jmj@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