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 간 무인기 상황 전파도 지연돼 손발 안 맞아
北무인기 침투 때 '대비태세' 발령까지 1시간 반 이상 걸려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당시 무인기 대비태세 발령까지 1시간 반 이상 걸렸다는 내용이 사후 점검에서 드러났다.

7일 군에 따르면 군사분계선(MDL)을 향해 내려오는 특이한 항적을 우리 군이 처음 인지한 시간은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25분께였다.

레이더상에는 10시 19분께부터 포착되고 있었다.

김포와 파주 사이 한강을 따라 서울로 향하는 북한 무인기였는데, 군이 이에 대해 무인기 대응 대비태세인 '두루미'를 발령하기까지는 1시간 반 이상 소요돼 정오께가 되어서야 발령된 것으로 전해졌다.

무인기가 이미 서울로 진입해 대통령 경호를 위한 비행금지구역인 P-73 등 서울 상공을 가로지른 뒤에야 대응 대비태세가 발령된 것이다.

더욱이 이 과정에서 서울 방어 임무를 맡은 수도방위사령부는 10시 19∼25분 무인기를 탐지·인지한 전방의 육군 1군단이나 합동참모본부로부터 무인기 침범 사실을 전달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방사는 오전 10시 50분께 자체적으로 서울 상공의 이상 항적을 포착했고 추가 검토를 거쳐 무인기 침범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어 11시 27분께 직접 대응 작전을 개시한다고 합참에 보고하는 과정에서야 비로소 합참 등이 무인기 작전을 펼치고 있었음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참은 지난달 28일 국회 국방위원회에 무인기 현안을 긴급 보고할 당시 "전군 경계 태세를 2급으로 격상했다"고 밝혔지만, 전군 중에서 담당 구역이 직접 침범당한 부대 간에도 제대로 된 상황 전파와 공조가 이뤄지지 않고 있었던 셈이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은 현재 작전 상황 전반을 다시 들여다보고 재구성하면서 작전 중에 발생한 허점과 보완점을 파악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