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림은 피겨 시니어 여자 싱글 최하위…극심한 컨디션 난조

아이스댄스 임해나-취안예, 주니어GP파이널 은메달…한국 최초
임해나(18)-취안예(21·경기일반) 조가 한국 최초로 피겨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 댄스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임해나-취안예는 11일(한국시간) 이탈리아 토리노 팔라벨라에서 열린 2022-2023 국제빙상경기연맹(ISU) 피겨스케이팅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프리 댄스에서 기술점수(TES) 51.68점, 예술점수(PCS) 46.64점, 총점 98.32점을 받아 리듬댄스(64.21점)와 합친 최종 총점 162.53점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

한국 선수가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시상대에 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임해나-취안예는 지난 시즌부터 한국 아이스 댄스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두 선수는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전이었던 2021-2022 1차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팀 최초로 그랑프리 입상에 성공했고, 2022-2023시즌엔 1차 대회 금메달, 7차 대회 은메달을 차지해 한국 최초로 상위 6팀이 겨루는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권을 획득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 댄스는 전년도 7월 1일 기준 여자 선수 만 13세~19세, 남자 선수 만 21세 이하의 선수가 출전할 수 있다.

피겨 여자 선수들은 보통 10대 후반에 전성기를 펼친다는 점을 고려하면, 주니어 무대도 시니어 못지않은 메이저 대회로 평가받는다.

캐나다에서 태어난 임해나는 캐나다와 한국의 이중국적을 가졌으며, 지난 시즌부터 한국 국적으로 국제대회에 출전하고 있다.

취안예는 아이슬란드에서 태어난 중국계 캐나다인이다.

ISU 주관 대회 페어와 아이스 댄스에서는 두 명의 선수 중 한 명의 국적을 선택해 대회에 나설 수 있다.

다만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주관하는 올림픽은 두 선수 모두 같은 국적을 가져야 한다.

이날 두 선수는 완벽한 모습을 뽐냈다.

프리 댄스 프로그램인 '죽음의 무도' 선율에 몸을 맡긴 임해나와 취안예는 두 바퀴를 도는 코레오그래픽 스핀 무브(레벨1)로 연기를 시작했다.

이어 서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하는 싱크로나이즈 트위즐을 최고 난도인 레벨 4로 처리했다.

원 풋 턴스 시퀀스는 각자 레벨 1로 연기했고, 임해나가 취안예의 상체를 감아 올라서는 스트레이트 라인 리프트(레벨4)는 아름답게 마무리했다.

서큘러 스텝 시퀀스(레벨1)를 유연하게 연기한 뒤엔 댄스 스핀(레벨4)과 코레오그래픽 캐릭터 스텝 시퀀스(레벨1)를 강렬하게 펼치며 관중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취안예가 임해나를 들고 도는 로테이션 리프트(레벨4)로 연기를 마무리했다.

우승은 169.26점을 받은 캐나다의 나디아 바쉰스카-피터 버몬트 조가 차지했다.

아이스댄스 임해나-취안예, 주니어GP파이널 은메달…한국 최초
같은 장소에서 열린 시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여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선 '피겨장군' 김예림(단국대)이 최종 6위에 그쳤다.

김예림은 TES 58.14점, PCS 61.89점, 총점 119.03점을 받았고, 쇼트프로그램과 합친 최종 총점 180.58점으로 출전 선수 6명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김예림은 첫 점프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 점프를 시도하다 넘어지는 등 극심한 컨디션 난조에 시달렸다.

금메달은 일본의 미하라 마이(208.17점), 은메달은 미국의 이사보 레비토(197.23점), 동메달은 벨기에 루나 헨드릭스(196.35점)가 받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