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세계 6번째 남극 '내륙기지' 구축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세종·장보고 이은 韓 3번째 남극기지…기후변화 등 연구
1만5천t 차세대 쇄빙선 건조…아라온호가 못한 고위도 북극해 진입
남북극 포괄하는 극지활동 법정 기본계획 첫 입안
정부가 2030년까지 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를 구축한다.
또 1만5천t급 차세대 쇄빙 연구선을 건조해 아시아 최초로 고위도 북극해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내용의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남·북극을 포괄해 과학연구, 경제활동,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 극지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정부는 먼저 2027년까지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해 2030년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앞선 남극 내륙기지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공동), 중국이 세운 5곳이다.
이번엔 설립할 기지는 세종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에 이은 한국의 세 번째 남극기지이기도 하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남극내륙은 연구 가치가 충분하지만, 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야 하는 등 고난도 탐사기술이 필요하다.
100만 년 전의 공기가 그대로 담긴 3천m 깊이의 심부빙하 시추와 빙하 2천m 아래에 있는 호수(빙저호) 시추에도 도전한다.
이를 통해 과거 지구 기후변화 정보와 미지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한다.
정부는 2천774억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1만5천t급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한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1.5m 두께의 얼음을 3노트(5.6㎞/h)의 속도로 깰 수 있어 1m 두께까지만 가능한 아라온호가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점을 포함한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극지 환경의 변화는 지구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관련 연구를 강화한다.
2025년까지 북극 해빙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한다.
남극 빙하가 녹는 원인을 밝히고 2030년, 2050년, 2100년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도 연구한다.
지금까지 한국은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를 중점적으로 연구했지만, 국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범위를 전 남극 빙하로 확장한다.
극한지 신기술을 개발해 북극항로 운항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
북극에서 컨테이너 운송이 가능한 친환경 쇄빙 컨테이너선을 개발해 우리나라 선사들이 북극항로에서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극한환경에서 생존한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해 항생제, 치매치료제, 항균·면역조절물질 등 신규 의약물질을 개발한다.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범정부 극지정책 협의체'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제적으로는 북극권 8개 국가와 맞춤형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2024년에는 남극포럼을 신설한다.
극지연구 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극지 인프라를 민간과 공유한다.
2023년까지 국내에 극지와 유사한 환경을 재현한 연구·실험 시설을 구축해 산업체·연구기관 등에 실험과 장비 활용을 지원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정부는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첨단 기술을 개발할 열쇠를 찾아 나설 것"이라며 "인류의 미래를 밝히는 극지활동 선도국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만5천t 차세대 쇄빙선 건조…아라온호가 못한 고위도 북극해 진입
남북극 포괄하는 극지활동 법정 기본계획 첫 입안
정부가 2030년까지 세계 6번째로 남극 내륙기지를 구축한다.
또 1만5천t급 차세대 쇄빙 연구선을 건조해 아시아 최초로 고위도 북극해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내용의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남·북극을 포괄해 과학연구, 경제활동,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 극지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첫 법정 기본계획이다.
정부는 먼저 2027년까지 내륙연구 최적 거점을 기지 후보지로 선정해 2030년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로 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앞선 남극 내륙기지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공동), 중국이 세운 5곳이다.
이번엔 설립할 기지는 세종과학기지, 장보고과학기지에 이은 한국의 세 번째 남극기지이기도 하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남극내륙은 연구 가치가 충분하지만, 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야 하는 등 고난도 탐사기술이 필요하다.
100만 년 전의 공기가 그대로 담긴 3천m 깊이의 심부빙하 시추와 빙하 2천m 아래에 있는 호수(빙저호) 시추에도 도전한다.
이를 통해 과거 지구 기후변화 정보와 미지의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탐색한다.
정부는 2천774억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1만5천t급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건조한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1.5m 두께의 얼음을 3노트(5.6㎞/h)의 속도로 깰 수 있어 1m 두께까지만 가능한 아라온호가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는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점을 포함한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극지 환경의 변화는 지구 기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만큼 관련 연구를 강화한다.
2025년까지 북극 해빙 관측을 위한 초소형 위성을 개발한다.
남극 빙하가 녹는 원인을 밝히고 2030년, 2050년, 2100년의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도 연구한다.
지금까지 한국은 서남극 스웨이트 빙하를 중점적으로 연구했지만, 국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범위를 전 남극 빙하로 확장한다.
극한지 신기술을 개발해 북극항로 운항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
북극에서 컨테이너 운송이 가능한 친환경 쇄빙 컨테이너선을 개발해 우리나라 선사들이 북극항로에서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극한환경에서 생존한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해 항생제, 치매치료제, 항균·면역조절물질 등 신규 의약물질을 개발한다.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범정부 극지정책 협의체'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제적으로는 북극권 8개 국가와 맞춤형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2024년에는 남극포럼을 신설한다.
극지연구 수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극지 인프라를 민간과 공유한다.
2023년까지 국내에 극지와 유사한 환경을 재현한 연구·실험 시설을 구축해 산업체·연구기관 등에 실험과 장비 활용을 지원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정부는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첨단 기술을 개발할 열쇠를 찾아 나설 것"이라며 "인류의 미래를 밝히는 극지활동 선도국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