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중앙리더십, UAE는 SNS…엑스포 유치엔 차별화전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경련, 최근 유치전 성공사례 분석…"부산도 승산 있어"
최근 세계박람회(엑스포)를 개최한 국가들은 자국의 장점을 독특하게 활용한 차별화 전략으로 유치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3일 '세계박람회 유치 성공 사례와 시사점' 자료에서 중국·아랍에미리트(UAE)·이탈리아·일본 사례를 통해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전략과 방향을 제시했다.
2010년 상하이 엑스포를 개최한 중국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유치에 성공했다.
당시 장쩌민 주석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 이어 2010년 엑스포를 2대 국가행사로 규정하고 전폭 지원했다.
주룽지 당시 총리도 국제박람회기구(BIE) 의장과 사무총장, 회원국 인사들을 찾아다니며 지지를 호소했다.
다자회의 등 주요 외교무대에서도 각국 정상을 상대로 한 지도부의 공세가 이어졌다.
개최지 선정 1년 전 이미 국제엑스포센터를 완공하고 부지 개발계획을 세우는 등 인프라를 미리 구축한 것도 유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2020 두바이 엑스포 개최국인 UAE는 인터넷 이용자 비율이 높다는 강점을 살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홍보 전략을 실행에 옮겼다고 한다.
엑스포 유치 해시태그 캠페인 등으로 개최지 투표 전 페이스북 팔로워가 85만여명에 이르기도 했다.
이탈리아는 인류 공통 과제인 식량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는 전략으로 2015년 밀라노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지구의 식량, 생명의 에너지'를 주제로 식품 안전, 농업·생물다양성 기술에 초점을 맞춰 엑스포를 신기술과 국력 과시의 장이 아닌 인류 보편 과제를 논의하는 계기로 탈바꿈시켰다.
1970년 오사카 엑스포 개최 경험이 있는 일본은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유치를 위해 민·관이 체계적으로 역할을 분담했다.
중앙정부는 외교 루트를 통한 유치 교섭을 맡았고, 지방정부는 주최지 의견을 반영하면서 유치 기본계획 초안을 마련했다.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 등 민간이 주도하는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민간 부문 참여를 끌어낸 것도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전경련은 한국이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한 경험,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 등 강점을 BIE 회원국들의 지지 확보에 활용하고,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에 관한 주제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지자단체·민간의 유기적 협력 필요성도 언급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엑스포 개최지 투표권은 BIE 회원국에 있으므로 회원국 최고 결정권자의 관심사 파악 등 국가별 맞춤형 교섭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국만이 공유할 수 있는 개발 경험을 강조하고 민관이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3일 '세계박람회 유치 성공 사례와 시사점' 자료에서 중국·아랍에미리트(UAE)·이탈리아·일본 사례를 통해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전략과 방향을 제시했다.
2010년 상하이 엑스포를 개최한 중국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유치에 성공했다.
당시 장쩌민 주석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 이어 2010년 엑스포를 2대 국가행사로 규정하고 전폭 지원했다.
주룽지 당시 총리도 국제박람회기구(BIE) 의장과 사무총장, 회원국 인사들을 찾아다니며 지지를 호소했다.
다자회의 등 주요 외교무대에서도 각국 정상을 상대로 한 지도부의 공세가 이어졌다.
개최지 선정 1년 전 이미 국제엑스포센터를 완공하고 부지 개발계획을 세우는 등 인프라를 미리 구축한 것도 유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2020 두바이 엑스포 개최국인 UAE는 인터넷 이용자 비율이 높다는 강점을 살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홍보 전략을 실행에 옮겼다고 한다.
엑스포 유치 해시태그 캠페인 등으로 개최지 투표 전 페이스북 팔로워가 85만여명에 이르기도 했다.
이탈리아는 인류 공통 과제인 식량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는 전략으로 2015년 밀라노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지구의 식량, 생명의 에너지'를 주제로 식품 안전, 농업·생물다양성 기술에 초점을 맞춰 엑스포를 신기술과 국력 과시의 장이 아닌 인류 보편 과제를 논의하는 계기로 탈바꿈시켰다.
1970년 오사카 엑스포 개최 경험이 있는 일본은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유치를 위해 민·관이 체계적으로 역할을 분담했다.
중앙정부는 외교 루트를 통한 유치 교섭을 맡았고, 지방정부는 주최지 의견을 반영하면서 유치 기본계획 초안을 마련했다.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 등 민간이 주도하는 유치위원회를 구성해 민간 부문 참여를 끌어낸 것도 주요 동력으로 작용했다.
전경련은 한국이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한 경험,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 등 강점을 BIE 회원국들의 지지 확보에 활용하고,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에 관한 주제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지자단체·민간의 유기적 협력 필요성도 언급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엑스포 개최지 투표권은 BIE 회원국에 있으므로 회원국 최고 결정권자의 관심사 파악 등 국가별 맞춤형 교섭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국만이 공유할 수 있는 개발 경험을 강조하고 민관이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