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회 저널리즘특위 세미나…저널리즘 신뢰회복 제언 '봇물'
"기사수정 이력제 확대·뉴스룸 내부 의사결정 공개 어떤가요"
21일 한국언론학회 저널리즘특별위원회가 지난 2년간 활동을 결산하며 마련한 세미나에서는 한국 저널리즘 신뢰 회복을 위한 다양한 제언이 나왔다.

이날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오세욱 책임연구위원은 "저널리즘 신뢰회복을 위한 뚜렷한 방법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면서도 "속도를 높일 방법이 있을 것"이라며 '기사수정 이력제' 확대 등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

기사수정 이력제는 언론사가 온라인상에서 자사의 잘못된 기사를 수정할 경우 언제, 어떤 내용을 고쳤는지 그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다.

잘못된 기사를 고치고도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슬쩍 넘어갔던 행태를 바로잡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오 위원은 "일부 언론에서 도입한 기사수정 이력제가 확대되면 언론사들이 사실확인에 더 신경을 쓸 것"이라며 언론사들의 기사수정 이력을 한곳에서 볼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 정부광고 혜택 등 인센티브로 언론사 참여를 유도한다면 플랫폼 추진이 실제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언론사의 뉴스제작 공간인 뉴스룸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안도 내놨다.

오 위원은 "뉴스룸 내부의 의사결정 과정을 과감히 공개했으면 좋겠다.

안에서 무엇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독자들이) 모르니 밖에서 더 의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한국 언론의 신뢰 문제는 언론의 불투명성이 기여했다.

투명성 구현이 신뢰 복원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이봉현 한겨레신문 논설위원 겸 경제사회연구원장은 '좋은 저널리즘을 위한 노력들'이라는 주제의 발제에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윤리의식이 과거 세대의 기자들에 비해 높다고 평가하며 "데스크를 맡은 중견 기자의 각성과 노력없이 언론윤리가 제대로 확립되기 어렵다.

데스크를 대상으로 언론윤리 교육이 주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지금까지 (언론윤리 관련) 논의는 주로 현장 기자에 맞춰져 왔고, 데스크 역할에 대한 인식 부족이 언론윤리와 관련된 논의를 공허하게 만들었다"며 "윤리규정 위반 시 편집인, 편집국장, 부장 등 데스크 및 간부의 책임을 묻는 규정을 따로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기자협회 안형준 부회장은 2018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디지털 콘텐츠 엑스포(DCX)에서 '좋은 기사가 나오지 못하는 이유'로 지적됐던 조직 내 수평적 소통과 다양성 부족을 언급하며 "보다 나은 보도, 차별없는 보도 등을 하기 위해서 양성위원회 같은 것을 만들어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세미나에 독자 대표 자격으로 참석한 서울과학기술대 학생 김선률 씨는 "(언론사에서) 콘텐츠 변화를 위해 많은 시도를 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유튜브 영상 콘텐츠에 집중하는 등 플랫폼 양식도 중요하지만 어떤 내용을 다루는지에 더 집중하는 게 우리가 잃어버린 (언론) 신뢰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