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호' 출범…통합·혁신 '강한 민주당' 시험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개딸 정당' 팬덤정치 넘어서며 외연 확장할까…당내 反明정서 극복 과제
尹정부와 관계설정도 관심…'사법리스크' 넘어 차기 총선 승리 견인 관건 더불어민주당의 28일 8·28 전당대회를 통해 '이재명호 지도부'가 닻을 올렸다.
당내 비주류 출신인 이 대표는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으로 불리는 대세론 속에 압도적 지지로 당권을 거머쥐며 대선 패배 5개월여만에 화려하게 전면에 복귀했다.
잇단 전국 선거 패배로 어수선한 민주당을 개혁해 대안 야당으로 새로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당내 헤게모니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계파 간 갈등을 추슬러 '원팀'을 만드느냐에 따라 이재명호의 성공 여부가 갈릴 전망이다.
'이재명의 민주당' 성패는 차기 대권을 노리는 이 대표의 정치적 미래와도 직결될 수 밖에 없다.
이 대표의 당면 과제는 당의 체질 개선이다.
민주당은 지난해 4·7 재보선과 올해 3·9 대선, 6·1 지방선거에서 연달아 패배하면서 위기에 몰린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 하락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당 지지율이 반등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여전히 30%대를 맴도는 수준이다.
이번 전대 과정에서 저조한 호남 지역 투표율이 보여주듯 민주당을 향한 텃밭의 민심도 아직 싸늘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따라서 경제·민생 위기를 돌파할 대안과 새로운 시대정신을 제시함으로써 수권 정당으로 다시 인정받는 당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이 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상대의 실패를 기다리는 무기력한 반사이익 정치는 목표가 될 수 없다.
국민이 흔쾌히 선택할 정당으로 혁신, 또 혁신해서 '이기는 민주당'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강조해 왔다.
당의 통합도 중요한 숙제다.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당의 주류세력이 '친문(친문재인)'에서 '친명(친이재명)'으로 재편됐다는 점이 명백히 확인됐지만, 친문 진영을 중심으로는 비주류 출신인 이 대표에 대한 비토 정서가 여전하다.
선거 과정에서 당헌 개정을 놓고 불거진 사당화 논란은 이런 '반명 정서'가 언제든 당내 갈등으로 표출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이 대표가 임기 첫날인 29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양산 평산마을로 향하기로 한 것도 당내 통합이 그만큼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향후 당직 인선이나 선거 공천 등에서 잡음을 최소화하고 탕평의 의지를 보여주느냐가 첫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이 대표는 "당권이 아닌 일할 기회가 필요하다.
공천 학살은 없을 것"이라고 공언해 왔다.
이전 지도부에서 마무리하지 못한 '권리당원 전원투표 우선 당헌' 등이 다시 당내 갈등의 뇌관으로 부상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원 민주주의의 확대를 중시하는 이 대표의 철학과 '강성 당원을 앞세운 이재명 사당화'를 우려하는 비이재명계의 의견이 부딪힐 때 이를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난제로 떠오를 수 있다.
그 연장선 상에서 '개딸'(개혁의 딸)들로 대변되는 강성 지지층을 바라보고 노선을 정할 경우 중도 외연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팬덤 정치의 역기능을 어떻게 극복해 내느냐도 이 대표가 안은 과제 중 하나이다.
윤석열 정부에 대한 견제와 협치 사이 관계 설정도 관건이다.
0.73%포인트 차로 석패했던 대선후보가 169석 야당을 이끌게 되면서, 여야 협치보다 갈등 양상이 부각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
특히 여권에서는 정국의 돌파구가 필요할 때 앞선 '검수완박 정국' 때처럼 거대 야당이 대선에 불복하고 입법 독주에 나선다는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표는 "국민이 부여한 권한을 망설이지 않고 최대치로 확실히 행사하겠다"며 "민생과 국가를 위해 필요한 일이라면 적극 협력하겠지만, 집권여당의 독선·퇴행에는 강력히 맞서 싸우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대표 개인적으로는 이른바 '사법 리스크'의 극복이 가장 큰 숙제다.
검찰과 경찰이 이 대표 주변 수사에 속도를 붙이는 가운데, 이 대표 본인을 직접 겨냥한 혐의를 구성하는 데 성공할 경우 정국은 격랑에 휩싸일 수 있다.
이 대표 측이 '정치적 수사'라고 주장해 온 만큼 대정부·대여 관계는 투쟁 중심으로 경색되는 것이 불가피하고, 혐의 내용에 따라서는 당내에서도 이를 계기로 반명 정서가 결집해 리더십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검·경이 수사의 빠른 마무리를 공언하고 있는 만큼 이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이 대표의 첫 번째 고비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 대표가 최종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곳이 2년 임기를 넘어 차기 대선이라는 데에는 당내 이견이 없다.
비주류로서 여의도 정치권과의 거리가 강점이자 단점이었던 만큼, 기성 정치 문법과 차별화되는 강점은 살리면서도 국회에서 경륜과 안정감을 보여주며 당내 기반을 확실히 다지는 것이 2년간 이 대표의 장기 과제다.
2년간 굵직한 전국 선거가 예정돼 있지 않은 만큼, 임기 막바지에 열리는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이기는 민주당'을 만들었다는 점을 증명하느냐에 따라 이 대표의 성패도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尹정부와 관계설정도 관심…'사법리스크' 넘어 차기 총선 승리 견인 관건 더불어민주당의 28일 8·28 전당대회를 통해 '이재명호 지도부'가 닻을 올렸다.
당내 비주류 출신인 이 대표는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으로 불리는 대세론 속에 압도적 지지로 당권을 거머쥐며 대선 패배 5개월여만에 화려하게 전면에 복귀했다.
잇단 전국 선거 패배로 어수선한 민주당을 개혁해 대안 야당으로 새로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당내 헤게모니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계파 간 갈등을 추슬러 '원팀'을 만드느냐에 따라 이재명호의 성공 여부가 갈릴 전망이다.
'이재명의 민주당' 성패는 차기 대권을 노리는 이 대표의 정치적 미래와도 직결될 수 밖에 없다.
이 대표의 당면 과제는 당의 체질 개선이다.
민주당은 지난해 4·7 재보선과 올해 3·9 대선, 6·1 지방선거에서 연달아 패배하면서 위기에 몰린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과 여당의 지지율 하락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당 지지율이 반등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여전히 30%대를 맴도는 수준이다.
이번 전대 과정에서 저조한 호남 지역 투표율이 보여주듯 민주당을 향한 텃밭의 민심도 아직 싸늘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따라서 경제·민생 위기를 돌파할 대안과 새로운 시대정신을 제시함으로써 수권 정당으로 다시 인정받는 당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이 대표는 선거 과정에서 "상대의 실패를 기다리는 무기력한 반사이익 정치는 목표가 될 수 없다.
국민이 흔쾌히 선택할 정당으로 혁신, 또 혁신해서 '이기는 민주당'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강조해 왔다.
당의 통합도 중요한 숙제다.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당의 주류세력이 '친문(친문재인)'에서 '친명(친이재명)'으로 재편됐다는 점이 명백히 확인됐지만, 친문 진영을 중심으로는 비주류 출신인 이 대표에 대한 비토 정서가 여전하다.
선거 과정에서 당헌 개정을 놓고 불거진 사당화 논란은 이런 '반명 정서'가 언제든 당내 갈등으로 표출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이 대표가 임기 첫날인 29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양산 평산마을로 향하기로 한 것도 당내 통합이 그만큼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향후 당직 인선이나 선거 공천 등에서 잡음을 최소화하고 탕평의 의지를 보여주느냐가 첫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이 대표는 "당권이 아닌 일할 기회가 필요하다.
공천 학살은 없을 것"이라고 공언해 왔다.
이전 지도부에서 마무리하지 못한 '권리당원 전원투표 우선 당헌' 등이 다시 당내 갈등의 뇌관으로 부상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원 민주주의의 확대를 중시하는 이 대표의 철학과 '강성 당원을 앞세운 이재명 사당화'를 우려하는 비이재명계의 의견이 부딪힐 때 이를 어떻게 조율하느냐가 난제로 떠오를 수 있다.
그 연장선 상에서 '개딸'(개혁의 딸)들로 대변되는 강성 지지층을 바라보고 노선을 정할 경우 중도 외연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팬덤 정치의 역기능을 어떻게 극복해 내느냐도 이 대표가 안은 과제 중 하나이다.
윤석열 정부에 대한 견제와 협치 사이 관계 설정도 관건이다.
0.73%포인트 차로 석패했던 대선후보가 169석 야당을 이끌게 되면서, 여야 협치보다 갈등 양상이 부각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
특히 여권에서는 정국의 돌파구가 필요할 때 앞선 '검수완박 정국' 때처럼 거대 야당이 대선에 불복하고 입법 독주에 나선다는 프레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 대표는 "국민이 부여한 권한을 망설이지 않고 최대치로 확실히 행사하겠다"며 "민생과 국가를 위해 필요한 일이라면 적극 협력하겠지만, 집권여당의 독선·퇴행에는 강력히 맞서 싸우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대표 개인적으로는 이른바 '사법 리스크'의 극복이 가장 큰 숙제다.
검찰과 경찰이 이 대표 주변 수사에 속도를 붙이는 가운데, 이 대표 본인을 직접 겨냥한 혐의를 구성하는 데 성공할 경우 정국은 격랑에 휩싸일 수 있다.
이 대표 측이 '정치적 수사'라고 주장해 온 만큼 대정부·대여 관계는 투쟁 중심으로 경색되는 것이 불가피하고, 혐의 내용에 따라서는 당내에서도 이를 계기로 반명 정서가 결집해 리더십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
검·경이 수사의 빠른 마무리를 공언하고 있는 만큼 이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이 대표의 첫 번째 고비가 될 가능성도 있다.
이 대표가 최종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곳이 2년 임기를 넘어 차기 대선이라는 데에는 당내 이견이 없다.
비주류로서 여의도 정치권과의 거리가 강점이자 단점이었던 만큼, 기성 정치 문법과 차별화되는 강점은 살리면서도 국회에서 경륜과 안정감을 보여주며 당내 기반을 확실히 다지는 것이 2년간 이 대표의 장기 과제다.
2년간 굵직한 전국 선거가 예정돼 있지 않은 만큼, 임기 막바지에 열리는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이기는 민주당'을 만들었다는 점을 증명하느냐에 따라 이 대표의 성패도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