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93% 찬성으로 파업 가결…다음달 16일 파업 예정(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임금 6.1% 인상·주 36시간 근무 등 요구…금융산업협의회 "1.4% 인상 가능"
남은 한달간 협상 타결 여지…2016년 은행권 파업 참가율 15% 그치기도
시중은행·산업은행 등의 노조가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이 다음 달 16일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19일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93.4%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과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등 금융노조 소속 노조원들은 다음 달 16일 업무를 중단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전면 또는 부분 파업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전면 파업(총파업)을 하는 것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노조의 총파업이 현실이 되면 2016년 9월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 과정에서 임금 6.1% 인상과 주 36시간 근무, 영업점 폐쇄 금지 등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사측(금융산업협의회)은 임금 인상률로 1.4%를 제시하고, 근무시간 단축과 영업점 유지 등에도 난색을 보이고 있다.
금융 노사는 임단협 결렬 이후 중앙노동위원회 쟁의 조정회의에서도 합의에 실패해 결국 지난달 26일 '조정 중지' 결정을 받은 상태다.
하지만 노조가 예고한 파업 시점(9월 16일)까지 약 한달 정도 남은 만큼, 노사 간 협상이 원만히 타결돼 총파업까지는 이르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에도 금융노조는 쟁의행위 투표에서 파업을 가결했지만, 임금 인상률을 높이는 등의 방향으로 노사가 합의하면서 파업을 피한 바 있다.
남은 기간 타결이 불발되더라도, 금융소비자의 불편을 비롯한 금융노조 파업의 타격이 우려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2016년 총파업 당시에도 전체 은행권 직원 수 대비 참가율이 15%, 4대 시중은행의 참가율은 3% 정도에 그쳤다"며 "그만큼 노조도 고객 피해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꼈기 때문인데, 이번에도 실제로 전면 파업이 실행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구나 최근 비대면 금융의 발달로 파업의 충격이 더 작을 수도 있다"며 "고객들의 불편과 경제적 어려움 등을 고려해 노사가 남은 기간 잘 협상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남은 한달간 협상 타결 여지…2016년 은행권 파업 참가율 15% 그치기도
시중은행·산업은행 등의 노조가 속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이 다음 달 16일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19일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93.4%의 찬성률로 가결됐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과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 등 금융노조 소속 노조원들은 다음 달 16일 업무를 중단할 예정이다.
관계자는 전면 또는 부분 파업 여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전면 파업(총파업)을 하는 것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노조의 총파업이 현실이 되면 2016년 9월 이후 6년 만에 처음이다.
금융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 과정에서 임금 6.1% 인상과 주 36시간 근무, 영업점 폐쇄 금지 등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사측(금융산업협의회)은 임금 인상률로 1.4%를 제시하고, 근무시간 단축과 영업점 유지 등에도 난색을 보이고 있다.
금융 노사는 임단협 결렬 이후 중앙노동위원회 쟁의 조정회의에서도 합의에 실패해 결국 지난달 26일 '조정 중지' 결정을 받은 상태다.
하지만 노조가 예고한 파업 시점(9월 16일)까지 약 한달 정도 남은 만큼, 노사 간 협상이 원만히 타결돼 총파업까지는 이르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에도 금융노조는 쟁의행위 투표에서 파업을 가결했지만, 임금 인상률을 높이는 등의 방향으로 노사가 합의하면서 파업을 피한 바 있다.
남은 기간 타결이 불발되더라도, 금융소비자의 불편을 비롯한 금융노조 파업의 타격이 우려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2016년 총파업 당시에도 전체 은행권 직원 수 대비 참가율이 15%, 4대 시중은행의 참가율은 3% 정도에 그쳤다"며 "그만큼 노조도 고객 피해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꼈기 때문인데, 이번에도 실제로 전면 파업이 실행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구나 최근 비대면 금융의 발달로 파업의 충격이 더 작을 수도 있다"며 "고객들의 불편과 경제적 어려움 등을 고려해 노사가 남은 기간 잘 협상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