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무역상대국 중국과의 경제협력도 활성화할 것"
추경호 "IPEF 9월부터 본격 협상…국익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미국이 주도하는 신(新)경제 플랫폼인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가 9월부터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할 예정인 만큼 적극적으로 국익을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다음 달 8∼9일 IPEF 장관회의 일정을 언급하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IPEF는 무역, 공급망, 탈탄소 등 핵심분야에서 새로운 경제질서와 규범을 논의하는 장"이라며 "규범 정립 단계에서부터 우리 입장을 반영함과 동시에 다층적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공급망 블록화 등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정부는 이런 점을 유념해 무역, 공급망, 청정경제, 공정경제 등 4개 필라(부문)에 걸쳐 IPEF 협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가능하면 8월 중 국회 보고 등 국내 절차를 마무리하고, 9월 IPEF 장관회의를 시작으로 향후 협상 과정에서도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우리 입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이와 함께 "우리의 최대 무역 상대국인 중국과의 경제협력도 활성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한중 외교장관회담 개최 등 양국의 협력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는 만큼, 오는 8월 24일 수교 30주년을 맞이해 상호 존중과 협력의 정신에 기반을 두고 대중 경제협력을 활성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차원에서 양국 간 경제분야 고위급 회담 등을 통해 공통 관심사인 문화, 기후변화, 보건 분야부터 거시경제정책, 공급망 협력, 통상 현안과 중국에 있는 한국 기업 애로 해소 방안에 이르기까지 분야별 협력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경제협력 채널도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정부, 민간 등 다각적으로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공급망 재편을 위한 전 세계적 움직임 속에 첨단기술 보호는 각국 경제안보의 핵심과제"라며 "우리 기업 첨단기술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도록 사전예방 지원, 유출시 대응체계 강화, 보호 방안 마련 등으로 경제안보의 기초를 튼튼히 다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