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을 통해 해외로 송금된 '이상 해외송금'의 액수가 당초 예상을 초과해 총 7조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커지고 있다. 검찰 측은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세가 해외보다 비싼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이른바 '환치기'를 의심하고 있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금감원)은 지난달 말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4조3900억원 규모의 이상 해외송금을 파악하고 모든 은행에 2조6000억원 규모의 주요 점검 대상 거래에 대한 자체 조사를 시행했다. 자체 조사 결과 은행들은 당초 금감원이 예상한 7조원을 넘어선 액수의 의심 거래를 보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금감원은 지난 6월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현장 조사에 착수해 각각 1조6000억원과 2조5000억원 등 총 4조3900억원의 문제 거래를 발견했다.

지난달에는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관련 송금 거래 등을 포함한 2조6000억원 규모의 거래에 대한 자체 조사를 진행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은행들은 자체 점검 현황을 제출했고 이상 해외송금의 액수가 총 7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지검 반부패부는 이날 금감원으로부터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검사 자료를 받아 가상자산 거래 영업을 하면서 허위증방자료를 은행에 제출하고 4000여억원의 외화를 해외로 송금한 혐의로 유령 법인 관계자 3명을 구속했다. 검찰 측은 국내와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 간의 가상자산 가격 차를 이용한 차익거래와 연관 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에 금감원이 이상 해외송금과 관련된 모든 은행들에 대규모 제재를 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11일 이복현 금감원장은 기자들에게 "외환거래 관련해서는 심각하게 보고 있다. 제재 등을 어쩔 수 없을 것"이라며 징계를 예고한 바 있다.

이상 해외송금, 7조원보다 많다…검찰은 가상자산 '환치기' 의심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황두현 블루밍비트 기자 cow5361@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