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로또아파트’라는 신조어가 생길정도로 아파트 청약열풍이 뜨거운 대한민국이다. 문제는 2030 청약 소외계층의 경우 현행 청약가점제하에선 내집마련이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이제는 투자방법과 부동산유형측면에서 틈새시장을 찾아봐야한다.

2030층이 서울 강남 및 도심권을 비롯한 수도권 인기지역 내 아파트를 분양받고자할 경우 현행 청약가점제하에서 당첨을 기대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게다가 주택가격안정화를 원하는 정부가 고분양가문제를 잡기위해 집단대출에 필요한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보증요건을 강화하고 있는 만큼 자금확보측면에서도 청약시장을 통한 내집마련은 더욱 힘들어질 전망이다. 따라서 2030층의 내집마련전략은 청약시장(신축주택)을 두드리기보다는 구축주택을 값싸게 매입하는 편이 나아 보인다.

집을 값싸게 사는 방법으로는 법원경매물 매입, 급매물 매입, 분양권 매입, 민간임대주택 분양전환 매입 등이 있다. 다만 부동산유형에 따라 매입방법을 달리하는 편이 좋은데, 구축 아파트를 매입하고자 한다면 해외이주 또는 자금사정 등으로 기한이 촉박해 값싸게 나온 급매물이 매력적이다. 다만 급매물에 대한 정보가 대개 현장 중개업소들로부터 나오는 만큼 이들과의 긴밀한 관계는 필연적이다.

흔히들 시세보다 값싸게 부동산을 매입하는 것으로 알려진 법원경매물의 경우 현실 속에서는 그리 녹록하지 않은데, 아파트와 같은 인기상품은 입찰장의 과열된 분위기로 시세보다 비싸게 낙찰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권리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아 치명적인 손해를 입기도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하지만 단독주택이나 빌라를 매입하고자 한다면 아파트와 달리 비인기상품이라는 물건의 특성상 시세보다 확연히 저렴한 가격으로 낙찰받을 수 있는 법원경매방법을 권한다. 다만 추후 환금성을 감안해 도심지 소재 역세권이 좋겠다.


끝으로 이른바 ‘新뉴스테이’라 불리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에도 관심을 가질만한데,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 수준으로 8년간 거주를 보장받고 임대료 인상분 역시 연5% 내로 제한된다는 점에서 그렇다. 무엇보다 8년 후 분양전환 받을 수 있다는 점은 내집마련을 원하는 2030층에게 매력적인 상품으로 보인다.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