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회-문체부, 스포츠의·과학 지원 놓고 팽팽한 입장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포츠의·과학 지원 활동 이관 놓고 토론회
양대 체육회 "현장이 직접 맡아야"…문체부·과학원 "지적사항 보완하겠다"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과학원)은 엘리트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돕는 스포츠의·과학 지원 활동 주체를 놓고 명확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단체들은 11일 서울 노원구 태릉선수촌 챔피언하우스에서 열린 국가대표 스포츠 의·과학 훈련지원체계 개선방안 마련 토론회에서 엇갈린 의견을 내놨다.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을 양대 체육회가 전담해야 한다고 밝혔고, 문화체육관광부와 과학원은 지금처럼 과학원이 활동을 책임지되 지적 사항을 보완하겠다고 맞섰다.
이날 토론회엔 250여 명의 체육인이 모여 높은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 양대 체육회 "과학원의 지원활동은 연구 중심…체육회가 직접 맡아야"
발제에 나선 대한체육회 김보영 의과학부장은 "과학원은 그동안 '종목의 요청'이 아닌 '과학원 연구위원의 필요'에 의한 지원을 했다"며 "국가대표 선수촌의 스포츠과학 훈련지원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선 체육회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체육회는 식단, 영양, 의학 지원 등 훈련지원을 위한 대부분의 기능을 하고 있다"며 "선수의 모든 데이터는 선수 관리주체인 체육회 및 종목단체에서 관리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분산된 스포츠 의·과학 기능을 양대 체육회 중심으로 통합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조창옥 대한장애인체육회 훈련지원센터장은 과학원의 미흡한 지원 활동에 관해 지적했다.
조 센터장은 "장애인 선수들은 비장애 선수의 1/20 수준의 예산으로 9개 종목에 관해서만 지원받고 있다"며 "아울러 이천 선수촌 내 장애인 특화 측정 장비가 미비한 실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조 센터장은 "장애인 선수들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장애인 체육에 관한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은 장애인체육회가 직접 맡는 것이 효율적이다"라고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현장 관계자들은 과학원의 지원 활동 문제에 관해 꼬집기도 했다.
김동현 역도 대표팀 코치는 "과학원은 2020년 선수들의 동의 없이 측정 결과를 논문자료로 활용하는 등 연구원 실적을 쌓는 데 집중했다"며 "현장에선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 활동을 원한다"고 말했다.
◇ 문체부·과학원 "스포츠 과학 지원, 객관성 유지해야…지적 사항 보완하겠다"
반면 과학원은 예산의 중복 투자와 양대 체육회의 전문성 결여를 지적하며 과학원이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을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지적사항에 관해선 보완하겠다며 대안을 제시했다.
송홍선 과학원 스포츠과학연구실장은 "과학원은 42년간 경험을 쌓았다"며 "이를 두 기관에 분산하면 노하우와 전문 인력 수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송 실장은 "미비하다고 지적받은 정보공유 문제에 관해선 관련 시스템을 개발·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2년 내 연구원 1인이 1~2개의 종목만 담당하는 전문담당제를 실현하고 현재 스포츠 의·과학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10개 종목에 관해 연구원을 파견하는 사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정태경 체육정책과장도 스포츠과학 지원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과장은 "스포츠 의·과학 연구와 지원이 체육단체에 종속하면 연구와 지원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선수들에게 비밀이 보장된 지원을 하기 위해선 훈련 기관으로부터 독립적이거나 대등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의 양대 체육회 이관 움직임은 지난 3월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 국민의 힘 배현진 의원이 관련 법률안을 각각 대표 발의하면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두 의원이 발의한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개정 법률안은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국가대표선수촌 관리, 스포츠 의·과학 훈련지원을 위한 법적 기능을 부여하고, 국가대표 선수 훈련지원 관리를 강화하려는 취지가 담겼다.
해당 법률안은 현재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위를 통과했고, 문화체육관광부가 개선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혀 전체 회의에서 계류 중이다.
/연합뉴스
양대 체육회 "현장이 직접 맡아야"…문체부·과학원 "지적사항 보완하겠다"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과학원)은 엘리트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돕는 스포츠의·과학 지원 활동 주체를 놓고 명확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단체들은 11일 서울 노원구 태릉선수촌 챔피언하우스에서 열린 국가대표 스포츠 의·과학 훈련지원체계 개선방안 마련 토론회에서 엇갈린 의견을 내놨다.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는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을 양대 체육회가 전담해야 한다고 밝혔고, 문화체육관광부와 과학원은 지금처럼 과학원이 활동을 책임지되 지적 사항을 보완하겠다고 맞섰다.
이날 토론회엔 250여 명의 체육인이 모여 높은 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 양대 체육회 "과학원의 지원활동은 연구 중심…체육회가 직접 맡아야"
발제에 나선 대한체육회 김보영 의과학부장은 "과학원은 그동안 '종목의 요청'이 아닌 '과학원 연구위원의 필요'에 의한 지원을 했다"며 "국가대표 선수촌의 스포츠과학 훈련지원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선 체육회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체육회는 식단, 영양, 의학 지원 등 훈련지원을 위한 대부분의 기능을 하고 있다"며 "선수의 모든 데이터는 선수 관리주체인 체육회 및 종목단체에서 관리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분산된 스포츠 의·과학 기능을 양대 체육회 중심으로 통합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조창옥 대한장애인체육회 훈련지원센터장은 과학원의 미흡한 지원 활동에 관해 지적했다.
조 센터장은 "장애인 선수들은 비장애 선수의 1/20 수준의 예산으로 9개 종목에 관해서만 지원받고 있다"며 "아울러 이천 선수촌 내 장애인 특화 측정 장비가 미비한 실정"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조 센터장은 "장애인 선수들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장애인 체육에 관한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은 장애인체육회가 직접 맡는 것이 효율적이다"라고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현장 관계자들은 과학원의 지원 활동 문제에 관해 꼬집기도 했다.
김동현 역도 대표팀 코치는 "과학원은 2020년 선수들의 동의 없이 측정 결과를 논문자료로 활용하는 등 연구원 실적을 쌓는 데 집중했다"며 "현장에선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 활동을 원한다"고 말했다.
◇ 문체부·과학원 "스포츠 과학 지원, 객관성 유지해야…지적 사항 보완하겠다"
반면 과학원은 예산의 중복 투자와 양대 체육회의 전문성 결여를 지적하며 과학원이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을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지적사항에 관해선 보완하겠다며 대안을 제시했다.
송홍선 과학원 스포츠과학연구실장은 "과학원은 42년간 경험을 쌓았다"며 "이를 두 기관에 분산하면 노하우와 전문 인력 수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송 실장은 "미비하다고 지적받은 정보공유 문제에 관해선 관련 시스템을 개발·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향후 2년 내 연구원 1인이 1~2개의 종목만 담당하는 전문담당제를 실현하고 현재 스포츠 의·과학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10개 종목에 관해 연구원을 파견하는 사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정태경 체육정책과장도 스포츠과학 지원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과장은 "스포츠 의·과학 연구와 지원이 체육단체에 종속하면 연구와 지원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며 "선수들에게 비밀이 보장된 지원을 하기 위해선 훈련 기관으로부터 독립적이거나 대등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스포츠 의·과학 지원 활동의 양대 체육회 이관 움직임은 지난 3월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 국민의 힘 배현진 의원이 관련 법률안을 각각 대표 발의하면서 수면 위로 떠 올랐다.
두 의원이 발의한 국민체육진흥법 일부개정 법률안은 대한체육회와 대한장애인체육회에 국가대표선수촌 관리, 스포츠 의·과학 훈련지원을 위한 법적 기능을 부여하고, 국가대표 선수 훈련지원 관리를 강화하려는 취지가 담겼다.
해당 법률안은 현재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위를 통과했고, 문화체육관광부가 개선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혀 전체 회의에서 계류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