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내각, 인사·예산권 갖고 어젠다 집행하는 것"
내각 인선 질문엔 "당선인이 듣고 협의해서 좋은 사람 뽑도록 노력 중"
'고액 보수 논란' 한덕수 "얘기할 게 없다"…부동산 의혹도 제기(종합)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는 6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내세운 책임총리제에 대해 "조직의 책임자들이 자기의 철학과 어젠다를 집행하는 데 가장 효율적으로 예산과 인사에 대해서 자율권을 갖도록 (권한을) 늘려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이상적인 책임총리의 역할'에 대한 질문을 받고 "청와대의 힘을 내각에 분권화, 위임하는 차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당선인이 '청와대의 기능을 조금 줄이는 대신에 내각이 권한을 위임 받고 동시에 책임을 확실하게 가지고 어젠다를 추진해 달라'는 말씀을 여러 번 하셨다"고 설명했다.

윤 당선인은 앞서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에게 인사권을 비롯한 독립성을 폭넓게 보장하는 책임 내각을 구현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또 책임총리 구현의 의지 차원에서 한 후보자를 지명하기 전 전체 장관 인선안을 건네 미리 검토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후보자는 그러나 이날 내각 인선에 대한 질문에 "제가 말씀드리기가 어렵다"며 "대통령(당선인)께서 다 잘 듣고 같이 협의하고 토론해서 가장 좋은 사람을 뽑도록 노력하고 있다"고만 답했다.

한 후보자는 과거 책임총리에 근접했다는 평가를 받는 이해찬 전 총리와의 차별화 방안을 묻는 말에는 "제가 비교하는 것은 좀 적절하지 않을 것 같다"고 답변을 피했다.

한편 한 후보자는 지난해 3월 말부터 약 1년간 에쓰오일 사외이사로 재직하면서 약 8천200만원의 급여를 받은 것과 관련해서는 "별로 얘기할 게 없다.

청문회에서 만약 질문이 있으면 다 답변드리겠다"고 언급했다.

한 후보자가 1989년부터 보유 중인 서울시 종로구 3층짜리 단독 주택과 관련된 의혹도 불거졌다.

한 후보자가 장인으로부터 3억8천만원 가량에 이 집을 사들인 뒤 지난해 이 주택을 시세보다 높은 100억원가량에 매물로 내놓았다고 서울신문이 보도했다.

또 JTBC는 한 후보자가 통상산업분야 고위직으로 근무할 당시인 1993년 이 집을 미국 석유회사 한국법인에 장기간 월세를 줬고, 1995년에는 같은 회사가 채권최고액 약 1억6천만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며 이해충돌 가능성을 제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