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3·1절 앞두고 목록집 개정판 발간

산림청 국립수목원이 3·1절을 앞두고 28일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 이름 목록집' 개정판을 내면서 그동안 사용해온 자생식물의 일부 영어 이름에서 'Japan'(일본)을 뺐다.

개정판은 2015년 초판 발간 이후 7년 만에 나온 것이다.

한반도 일부 자생식물 영어 이름서 '일본' 뺐다
국립수목원이 이날 발간한 개정판에는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새로 확인된 450종을 포함해 총 3천915종의 자생식물 영어 이름이 수록됐다.

이 가운데 20종의 영어 이름에서 그동안 써온 'Japan'을 뺐다.

한반도가 해당 식물 분포의 중심지인데도 일본 국가명이 들어갔거나 광범위한 나라에 분포하고 있음에도 일본만 명시한 식물이름을 수정한 것이라고 국립수목원은 설명했다.

예컨대 종전까지 'Spined Japanese thistle'로 표기된 가시엉겅퀴의 영어 이름은 이제 'Spined Korean thistle'로 바뀌었다.

주엽나무는 'Japanese honey locust'에서 'East Asian honey locust'로 고쳤다.

앞서 국립수목원은 2015년 광복 70주년에 맞춰 '우리 식물 주권 찾기' 운동의 하나로 한국식물분류학회와 함께 이 목록집을 처음 발간했다.

그 전에 소나무는 영어 이름이 '줄기가 붉은 일본 소나무'란 뜻의 'Japanese red pine'으로 불렸으나 목록집 초판을 내면서 'Korean red pine'으로 바로 잡았다.

식물 이름은 학명(學名), 영명(英名), 국명(國名) 등 세 가지로 불린다.

학명은 국제적인 약속이어서 한번 정해지면 바꿀 수 없지만 학계 등에서 가장 많이 부르는 '영명'과 나라별로 적용하는 '국명'은 우리 의지로 바꿀 수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식물 이름에는 일본이나 일본 학자의 이름이 많이 들어가 있었다.

근대 식물분류체계가 먼저 마련된 일본 용례를 별 고민 없이 인용해온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식물 주권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학계 등을 중심으로 이름을 바꾸는 작업을 벌여오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목록집 개정판도 우리 식물의 정체성과 생물 주권을 바로 세우고 그 가치를 세계에 알리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우리 문화·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거나 한반도에만 사는 특산식물에 대해서는 한글 발음을 명사화해 영어로 옮기기도 했다.

국립수목원은 이 목록집을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와 해외 공관 등에도 보급할 계획이다.

일반인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에서 이를 내려받을 수 있다.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목록집 발간은 오랫동안 일본 또는 다른 나라의 것으로 인식된 식물에 우리 이름을 찾아주고 전 세계에 우리 자생식물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