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침공] 더 커진 인플레 압력…수출·소비도 위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제 유가 상승, 제조업 전반에 영향…물가 오르면 소비 여력 위축
대러 경제 제재에 세계 교역 둔화·투자 위축 가능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는 한국 경제에도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수출과 투자가 움츠러들면서 소비 위축과 경제 성장 둔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기업의 수출과 에너지·원자재·곡물 수급,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키우고 그렇지 않아도 상승세인 소비자물가를 더욱 밀어 올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생산 비중이 높은 석유, 천연가스, 주요 금속, 밀 등은 산업에서 비중이 크고 반드시 써야 하는 품목"이라며 "이런 품목의 가격이 오르면 체감 물가가 굉장히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 유가는 차량 운행을 위한 휘발유·경유 비용뿐 아니라 석유류, 가공식품 등 제조업 상품 전반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거래는 제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경제 제재는 결과적으로 국제 원유의 공급 부족을 심화할 수 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물건을 사는 실물거래 뒤에는 반드시 돈을 지급하는 금융거래가 뒤따른다"며 "금융거래에 많은 제재를 가하고 있는데 결국 실물거래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 그래도 원자재 가격이 높아 물가가 많이 오르고 기업들의 비용 부담도 높아진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는) 추가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올해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연평균 배럴당 73달러 수준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2%로 예상한 바 있다.
하지만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지난 24일 기준 98.64달러까지 치솟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넉 달째 3%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국제 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를 돌파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제사회가 러시아에 대한 수출 제재에 나서는 것도 우리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미국이 반도체 등 첨단기술 제품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는 포괄적인 제재 방안을 발표해 우리나라 반도체·자동차 기업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게 됐다.
우리나라는 대러 수출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세계 각국이 수출 제재에 동참하면 세계적으로 교역이 위축되고 경기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르는 와중에 수출이 둔화하면 무역 적자가 지속될 우려도 있다.
무역수지는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작년 12월, 20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선 뒤 지난달 적자 폭을 키웠다.
박정수 서강대 교수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쟁이 어디까지 확산할지, 얼마나 길어질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제재가 길어지면 그만큼 더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은 "러시아를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생긴다면 러시아로 물건을 파는 것뿐만 아니라 글로벌 생산에서 병목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 심리는 지난 2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전장보다 2.51% 오르는 등 일단 다소 안정을 찾는 모습이다.
하지만 정세에 따라 투자가 위축되고 미국 달러, 예금, 채권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돈이 잠기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조 연구위원은 "이미 국제금융시장 투자자와 기업들이 상반기에 투자하지 않고 미루겠다는 응답을 하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충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 실장은 "수출이 줄어들면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고 소득 감소로 이어지면서 소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물가 상승도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대러 경제 제재에 세계 교역 둔화·투자 위축 가능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는 한국 경제에도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국제 에너지·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수출과 투자가 움츠러들면서 소비 위축과 경제 성장 둔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기업의 수출과 에너지·원자재·곡물 수급,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을 예의주시하면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원유를 비롯한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키우고 그렇지 않아도 상승세인 소비자물가를 더욱 밀어 올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세계적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생산 비중이 높은 석유, 천연가스, 주요 금속, 밀 등은 산업에서 비중이 크고 반드시 써야 하는 품목"이라며 "이런 품목의 가격이 오르면 체감 물가가 굉장히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 유가는 차량 운행을 위한 휘발유·경유 비용뿐 아니라 석유류, 가공식품 등 제조업 상품 전반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거래는 제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러시아에 대한 고강도 경제 제재는 결과적으로 국제 원유의 공급 부족을 심화할 수 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물건을 사는 실물거래 뒤에는 반드시 돈을 지급하는 금융거래가 뒤따른다"며 "금융거래에 많은 제재를 가하고 있는데 결국 실물거래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 그래도 원자재 가격이 높아 물가가 많이 오르고 기업들의 비용 부담도 높아진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는) 추가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올해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연평균 배럴당 73달러 수준이라는 전망을 토대로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2%로 예상한 바 있다.
하지만 두바이유 현물 가격은 지난 24일 기준 98.64달러까지 치솟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넉 달째 3%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국제 유가 상승세가 지속되면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를 돌파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제사회가 러시아에 대한 수출 제재에 나서는 것도 우리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미국이 반도체 등 첨단기술 제품의 러시아 수출을 통제하는 포괄적인 제재 방안을 발표해 우리나라 반도체·자동차 기업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게 됐다.
우리나라는 대러 수출 비중이 크지 않은 편이지만, 세계 각국이 수출 제재에 동참하면 세계적으로 교역이 위축되고 경기 성장세가 둔화할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수입 물가가 크게 오르는 와중에 수출이 둔화하면 무역 적자가 지속될 우려도 있다.
무역수지는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면서 작년 12월, 20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선 뒤 지난달 적자 폭을 키웠다.
박정수 서강대 교수는 "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쟁이 어디까지 확산할지, 얼마나 길어질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제재가 길어지면 그만큼 더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조 연구위원은 "러시아를 글로벌 공급망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이 생긴다면 러시아로 물건을 파는 것뿐만 아니라 글로벌 생산에서 병목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 심리는 지난 2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전장보다 2.51% 오르는 등 일단 다소 안정을 찾는 모습이다.
하지만 정세에 따라 투자가 위축되고 미국 달러, 예금, 채권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돈이 잠기는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조 연구위원은 "이미 국제금융시장 투자자와 기업들이 상반기에 투자하지 않고 미루겠다는 응답을 하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는 동시에 실물경제와 금융경제 충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 실장은 "수출이 줄어들면 기업의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고 소득 감소로 이어지면서 소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물가 상승도 소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