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5개국 출원 건수 최근 10년간 연평균 19% 증가
현실 같은 메타버스 시대 열린다…실감형 콘텐츠 특허출원 늘어
최근 가상공간에서 뮤직비디오, 영화, 광고, 공연, 전시 등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례가 늘면서 관련 기술이 주목받는다.

특히 메타버스 서비스에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를 이용하는 실감형 콘텐츠 기술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은 전 세계에서 미국, 중국과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늘고 있다.

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0년 이후 2020년까지 한국, 미국, 일본, 유럽, 중국 등 선진 5개국(IP5) 특허청에 출원된 실감형 콘텐츠 기술 관련 특허는 총 3만1천567건에 달했다.

2010년 이후 연평균 19%씩 가파르게 성장했다.

현실 같은 메타버스 시대 열린다…실감형 콘텐츠 특허출원 늘어
우리나라의 출원 건수는 모두 4천524건에 달했고, 2010년 이후 연평균 5%의 증가세를 보였다.

IP5 출원인 국적별 비율은 미국이 43.7%(1만3천786건)로 가장 높고, 중국 19.7%(6천215건), 한국 14.6%(4천620건), 일본 8.4%(2천647건), 유럽 8.5%(2천697건) 순이었다.

세부 기술별로는 콘텐츠 제공 38%, 몰입 콘텐츠를 지각·인지·조작·입력할 수 있도록 돕는 인터페이스 30%, 콘텐츠를 고해상도·고화질로 구현하는 데 필요한 랜더링 19%,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 추적하는 트래킹 13% 순이었다.

모든 기술에서 미국이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했고, 우리나라는 트래킹(20%)과 콘텐츠 제공(18%)에서 적지 않은 점유율을 보였다.

특허청 컴퓨터심사과 이후락 심사관은 "메타버스 등에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실감형 콘텐츠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 등 신기술을 융합해, 급부상하는 세계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