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이주열 "물가 상승 압력,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가계소비 제약하진 않을 것"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빨라져…시장 충격은 우려할 수준 아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연 1.00%인 기준금리를 1.25%로 0.2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한 직후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11월 그리고 이달 세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 올랐다.
특히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으로 올린 것은 2007년 이후 14년여 만이다.
다음은 이 총재가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을 문답으로 정리한 것이다.
-- 이번 결정으로 기준금리가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는데,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하나.
▲ 오늘 기준금리를 올리긴 했지만, 앞으로의 경제 상황과 성장세, 물가 등 전망을 고려하면 지금도 실물경제 상황보다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앞으로도 경제 상황에 맞춰 기준금리를 추가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한은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면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대 수준으로 전망했지만, 한 달여 만에 2%대 중반 수준으로 올려 잡았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당시 1%대 후반으로 예상했지만 이번에는 2%를 상당폭 상회할 것이라 봤다.
이렇게 평가한 배경은 무엇인가.
▲ 소비자물가가 2% 이상 오른 품목을 조사하니 개수가 최근 들어 상당히 늘었다.
특히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 품목에서 봐도 물가가 2% 이상 상승한 품목의 개수가 연초와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었다.
불과 한 달 사이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돼 기존 전망 경로를 큰 폭으로 조정하게 됐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상당 기간 3%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지난해 4분기 물가상승률이 크게 상승한 점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해 하반기에 접어들면 상승률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물가 상승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면 긴축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기준금리 1.50%까지 올리게 되면 긴축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는가.
▲ 현재 긴축을 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경기와 물가, 금융불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정수준의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평가할 예정이다.
경제 흐름과 중립금리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 1.50%를 긴축으로 보기는 어렵다.
-- 지난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이자 부담이 약 9조8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가계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은.
▲ 가계 소비를 제약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이자 상환 부담은 계층별로 다르다 보니, 취약계층의 경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소비의 흐름을 볼 때는 큰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본다.
부채 측면만 보면 부담이 늘어나지만 반대로 이자 수익이 늘어나는 부분도 있다.
-- 한은은 기준금리를 인상했는데 기획재정부는 대규모 추가경정예산편성을 발표했다.
한은은 돈을 조이고 기획재정부는 돈을 푸는데, 서로의 정책 효과를 억제하는 것은 아닌가.
▲ 현재 상황에서 엇박자로 볼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지난해 경제 회복 속도가 부문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현재도 마찬가지다.
한은은 거시여건에 맞춰 성장이나 물가, 금융불균형 등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이고, 불균등하게 회복하는 과정 중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서 해결해야 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 하반기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에 따른 국내 시장의 충격은 어떻게 평가하나.
▲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생각보다는 빨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고 양적 긴축까지 더한다면 신흥국의 시장 내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한국은 다른 신흥국과 상황이 다르다고 본다.
연준의 정책 방향이 어느 정도 반영돼 있고 대외건전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국내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연준의 통화정책은 중요한 고려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일단은 국내 경제를 우선으로 고려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한다.
-- 가계대출 증가세와 주택가격 상승률이 둔화했다.
향후 전망은.
▲ 연초가 되면서 금융기관이 대출을 재개하는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높아질 수 있다.
주택가격의 경우 가격 상승 기대감이 많이 약해지면서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 상승세도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주택가격은 수급과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는 등 금융 외 다른 요인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언하기 어렵다.
/연합뉴스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빨라져…시장 충격은 우려할 수준 아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연 1.00%인 기준금리를 1.25%로 0.2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한 직후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11월 그리고 이달 세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 올랐다.
특히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으로 올린 것은 2007년 이후 14년여 만이다.
다음은 이 총재가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을 문답으로 정리한 것이다.
-- 이번 결정으로 기준금리가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는데,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하나.
▲ 오늘 기준금리를 올리긴 했지만, 앞으로의 경제 상황과 성장세, 물가 등 전망을 고려하면 지금도 실물경제 상황보다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앞으로도 경제 상황에 맞춰 기준금리를 추가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한은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면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대 수준으로 전망했지만, 한 달여 만에 2%대 중반 수준으로 올려 잡았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당시 1%대 후반으로 예상했지만 이번에는 2%를 상당폭 상회할 것이라 봤다.
이렇게 평가한 배경은 무엇인가.
▲ 소비자물가가 2% 이상 오른 품목을 조사하니 개수가 최근 들어 상당히 늘었다.
특히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 품목에서 봐도 물가가 2% 이상 상승한 품목의 개수가 연초와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었다.
불과 한 달 사이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돼 기존 전망 경로를 큰 폭으로 조정하게 됐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상당 기간 3%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지난해 4분기 물가상승률이 크게 상승한 점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해 하반기에 접어들면 상승률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물가 상승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면 긴축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기준금리 1.50%까지 올리게 되면 긴축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는가.
▲ 현재 긴축을 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경기와 물가, 금융불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정수준의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평가할 예정이다.
경제 흐름과 중립금리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 1.50%를 긴축으로 보기는 어렵다.
-- 지난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이자 부담이 약 9조8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가계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은.
▲ 가계 소비를 제약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이자 상환 부담은 계층별로 다르다 보니, 취약계층의 경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소비의 흐름을 볼 때는 큰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본다.
부채 측면만 보면 부담이 늘어나지만 반대로 이자 수익이 늘어나는 부분도 있다.
-- 한은은 기준금리를 인상했는데 기획재정부는 대규모 추가경정예산편성을 발표했다.
한은은 돈을 조이고 기획재정부는 돈을 푸는데, 서로의 정책 효과를 억제하는 것은 아닌가.
▲ 현재 상황에서 엇박자로 볼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지난해 경제 회복 속도가 부문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현재도 마찬가지다.
한은은 거시여건에 맞춰 성장이나 물가, 금융불균형 등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이고, 불균등하게 회복하는 과정 중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서 해결해야 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 하반기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에 따른 국내 시장의 충격은 어떻게 평가하나.
▲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생각보다는 빨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고 양적 긴축까지 더한다면 신흥국의 시장 내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한국은 다른 신흥국과 상황이 다르다고 본다.
연준의 정책 방향이 어느 정도 반영돼 있고 대외건전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국내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연준의 통화정책은 중요한 고려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일단은 국내 경제를 우선으로 고려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한다.
-- 가계대출 증가세와 주택가격 상승률이 둔화했다.
향후 전망은.
▲ 연초가 되면서 금융기관이 대출을 재개하는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높아질 수 있다.
주택가격의 경우 가격 상승 기대감이 많이 약해지면서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 상승세도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주택가격은 수급과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는 등 금융 외 다른 요인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언하기 어렵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