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가계소비 제약하진 않을 것"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빨라져…시장 충격은 우려할 수준 아냐"
[Q&A] 이주열 "물가 상승 압력,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4일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연 1.00%인 기준금리를 1.25%로 0.25%포인트 인상한다고 발표한 직후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11월 그리고 이달 세 차례에 걸쳐 0.75%포인트 올랐다.

특히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으로 올린 것은 2007년 이후 14년여 만이다.

다음은 이 총재가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을 문답으로 정리한 것이다.

-- 이번 결정으로 기준금리가 코로나19 확산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는데,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하나.

▲ 오늘 기준금리를 올리긴 했지만, 앞으로의 경제 상황과 성장세, 물가 등 전망을 고려하면 지금도 실물경제 상황보다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앞으로도 경제 상황에 맞춰 기준금리를 추가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한은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하면서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2%대 수준으로 전망했지만, 한 달여 만에 2%대 중반 수준으로 올려 잡았다.

근원인플레이션율도 당시 1%대 후반으로 예상했지만 이번에는 2%를 상당폭 상회할 것이라 봤다.

이렇게 평가한 배경은 무엇인가.

▲ 소비자물가가 2% 이상 오른 품목을 조사하니 개수가 최근 들어 상당히 늘었다.

특히 수요 측 물가상승 압력을 나타내는 근원 품목에서 봐도 물가가 2% 이상 상승한 품목의 개수가 연초와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었다.

불과 한 달 사이지만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크고 광범위하게 확산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돼 기존 전망 경로를 큰 폭으로 조정하게 됐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상당 기간 3%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으나, 지난해 4분기 물가상승률이 크게 상승한 점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작용해 하반기에 접어들면 상승률은 점차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 물가 상승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면 긴축 정책을 시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기준금리 1.50%까지 올리게 되면 긴축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는가.

▲ 현재 긴축을 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경기와 물가, 금융불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정수준의 기준금리를 지속해서 평가할 예정이다.

경제 흐름과 중립금리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 1.50%를 긴축으로 보기는 어렵다.

-- 지난 세 차례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이자 부담이 약 9조8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가계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은.
▲ 가계 소비를 제약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

이자 상환 부담은 계층별로 다르다 보니, 취약계층의 경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소비의 흐름을 볼 때는 큰 영향을 주진 않을 것으로 본다.

부채 측면만 보면 부담이 늘어나지만 반대로 이자 수익이 늘어나는 부분도 있다.

-- 한은은 기준금리를 인상했는데 기획재정부는 대규모 추가경정예산편성을 발표했다.

한은은 돈을 조이고 기획재정부는 돈을 푸는데, 서로의 정책 효과를 억제하는 것은 아닌가.

▲ 현재 상황에서 엇박자로 볼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지난해 경제 회복 속도가 부문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현재도 마찬가지다.

한은은 거시여건에 맞춰 성장이나 물가, 금융불균형 등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이고, 불균등하게 회복하는 과정 중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정부가 나서 해결해야 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 하반기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에 나설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에 따른 국내 시장의 충격은 어떻게 평가하나.

▲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생각보다는 빨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가 빨라지고 양적 긴축까지 더한다면 신흥국의 시장 내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한국은 다른 신흥국과 상황이 다르다고 본다.

연준의 정책 방향이 어느 정도 반영돼 있고 대외건전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국내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 연준의 통화정책은 중요한 고려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일단은 국내 경제를 우선으로 고려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한다.

-- 가계대출 증가세와 주택가격 상승률이 둔화했다.

향후 전망은.
▲ 연초가 되면서 금융기관이 대출을 재개하는 만큼 가계대출 증가세가 높아질 수 있다.

주택가격의 경우 가격 상승 기대감이 많이 약해지면서 거래가 감소하고 가격 상승세도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주택가격은 수급과 정부 정책에 영향을 받는 등 금융 외 다른 요인에 의해 상당히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언하기 어렵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