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민 독서량 '뚝'…2년 전보다 성인 3권·학생 6.6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 독서실태' 조사…성인 평균 4.5권, 학생 34.4권 읽어
독서 방해 요인 '일·다른 콘텐츠 이용', '스마트폰·게임'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과 학생의 독서량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2020년 9월~2021년 8월)간 종이책과 전자책·소리책(오디오북)을 합한 성인의 평균 종합 독서량은 4.5권으로 2019년 조사 때보다 3권 줄었다.
지난 1년간 일반 도서를 1권 이상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인 연간 종합 독서율도 47.5%로 8.2%포인트 감소했다.
초·중·고교 학생은 연간 종합 독서량(교과서·참고서 등 제외)이 34.4권, 종합 독서율이 91.4%로 2019년보다 독서량은 6.6권, 독서율은 0.7%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20대 청년층(만 19~29세) 독서율은 78.1%로 2019년보다 0.3%포인트 소폭 증가했고, 모든 성인 연령층과 비교해 높은 독서율과 많은 독서량을 보였다.
종이책 독서율은 성인 40.7%, 학생 87.4%로 2019년보다 각각 11.4%포인트, 3.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9%, 학생은 49.1%로 2019년보다 각각 2.5% 포인트, 11.9%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학생과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전자책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은 4.5%, 학생은 14.3%로 2019년보다 성인은 1%포인트 소폭 증가했고, 학생은 4.4%포인트 하락했다.
이번에 처음 조사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 변화'와 관련해선 성인은 대체로 큰 변화가 없다고 답했으나, 학생은 독서량, 종이책 독서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모두 40% 이상이었다.
다만, 실제 학생의 독서량과 종이책 독서 시간은 지난 조사와 비교해 증가하지 않아, 주관적 인식과 실제 독서 생활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성인은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26.5%),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26.2%)을 주로 꼽았다.
학생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23.7%)를 가장 큰 장애 요인이라고 답했다.
고령층 독서율은 여전히 낮고, 읍면 지역 성인 독서율도 대도시에 비해 낮았다.
50세 이상 중장년층과 고령층 독서율은 50대는 35.7%, 60세 이상은 23.8%로 2019년보다 각각 9.2%포인트, 8.6%포인트 하락해 지속적인 감소세였다.
읍면 지역 거주 성인의 독서율은 대도시 거주자보다 22.3%포인트 낮았으며 독서량과 독서 시간도 적었다.
그러나 학생의 경우 지역 간 독서 지표 격차가 크지 않았다.
매체 환경 변화에 따라 독서의 범위에 대한 인식도 확인했다.
성인 과반수가 독서에 해당한다고 답한 항목은 '종이책 읽기'(98.5%), '전자책 읽기'(77.2%), '웹소설 읽기'(66.5%)였다.
학생은 '종이책 읽기'(91.2%), '전자책 읽기'(74.2%), '만화책 보기·읽기'(57.2%)가 과반수로 나타났다.
격년 단위로 이뤄지는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1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6천 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천320명을 대상으로 성인은 면접조사, 학생은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에서 볼 수 있다.
/연합뉴스
독서 방해 요인 '일·다른 콘텐츠 이용', '스마트폰·게임'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과 학생의 독서량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2020년 9월~2021년 8월)간 종이책과 전자책·소리책(오디오북)을 합한 성인의 평균 종합 독서량은 4.5권으로 2019년 조사 때보다 3권 줄었다.
지난 1년간 일반 도서를 1권 이상 읽거나 들은 사람의 비율인 연간 종합 독서율도 47.5%로 8.2%포인트 감소했다.
초·중·고교 학생은 연간 종합 독서량(교과서·참고서 등 제외)이 34.4권, 종합 독서율이 91.4%로 2019년보다 독서량은 6.6권, 독서율은 0.7%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20대 청년층(만 19~29세) 독서율은 78.1%로 2019년보다 0.3%포인트 소폭 증가했고, 모든 성인 연령층과 비교해 높은 독서율과 많은 독서량을 보였다.
종이책 독서율은 성인 40.7%, 학생 87.4%로 2019년보다 각각 11.4%포인트, 3.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9%, 학생은 49.1%로 2019년보다 각각 2.5% 포인트, 11.9%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학생과 20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전자책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은 4.5%, 학생은 14.3%로 2019년보다 성인은 1%포인트 소폭 증가했고, 학생은 4.4%포인트 하락했다.
이번에 처음 조사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독서 생활 변화'와 관련해선 성인은 대체로 큰 변화가 없다고 답했으나, 학생은 독서량, 종이책 독서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모두 40% 이상이었다.
다만, 실제 학생의 독서량과 종이책 독서 시간은 지난 조사와 비교해 증가하지 않아, 주관적 인식과 실제 독서 생활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성인은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26.5%), '다른 매체·콘텐츠 이용'(26.2%)을 주로 꼽았다.
학생은 '스마트폰, 텔레비전, 인터넷 게임 등을 이용해서'(23.7%)를 가장 큰 장애 요인이라고 답했다.
고령층 독서율은 여전히 낮고, 읍면 지역 성인 독서율도 대도시에 비해 낮았다.
50세 이상 중장년층과 고령층 독서율은 50대는 35.7%, 60세 이상은 23.8%로 2019년보다 각각 9.2%포인트, 8.6%포인트 하락해 지속적인 감소세였다.
읍면 지역 거주 성인의 독서율은 대도시 거주자보다 22.3%포인트 낮았으며 독서량과 독서 시간도 적었다.
그러나 학생의 경우 지역 간 독서 지표 격차가 크지 않았다.
매체 환경 변화에 따라 독서의 범위에 대한 인식도 확인했다.
성인 과반수가 독서에 해당한다고 답한 항목은 '종이책 읽기'(98.5%), '전자책 읽기'(77.2%), '웹소설 읽기'(66.5%)였다.
학생은 '종이책 읽기'(91.2%), '전자책 읽기'(74.2%), '만화책 보기·읽기'(57.2%)가 과반수로 나타났다.
격년 단위로 이뤄지는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1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6천 명과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천320명을 대상으로 성인은 면접조사, 학생은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에서 볼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