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연코일 연간 24만t 복화운송 추진
포스코·현대제철, 탄소저감 위해 물류협력…상대방 제품도 운송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물류 부문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29일 포스코센터에서 '물류 부문 협력 강화 및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열연코일을 운송할 때 사용하는 전용선을 공유해 비용과 탄소배출을 줄이자는 것이 핵심이다.

두 회사는 제품 운송 선박과 전용 부두 등 연안 해운 인프라를 공유하고, 광양과 평택·당진항 구간에 연간 24만t 물량의 복화운송을 추진한다.

복화운송은 두 건 이상의 운송을 하나로 묶어 공동 운송하는 것으로, 편도운송 후 되돌아올 때 화물을 싣고 오는 운송을 말한다.

현대제철이 당진제철소에서 생산한 열연코일을 1만t급 전용선을 이용해 순천항까지 운송·하역한 뒤 이를 광양 제품부두로 이동시켜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생산한 코일을 싣고 다시 당진항까지 운송하는 식이다.

이때 운송된 포스코 광양제철소 코일은 KG동부제철 당진공장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런 방식은 공차나 공선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친환경적 운송으로 꼽힌다.

기존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광양∼평택·당진 구간에 각각 연 130만t과 180만t의 코일을 개별 운송해왔는데, 복화운송으로 두 회사는 각각 12만t을 상대방의 선박으로 운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스코의 코일로로선(코일 운송 전용선)이 월 2항차, 현대제철 전용선이 월 1~2항차가량 운항 횟수가 줄게 된다.

운항 횟수 감소로 소나무 54만 그루를 새로 심는 효과와 맞먹은 연간 3천t의 탄소배출 감축이 예상되며, 물류비도 최대 6% 절감될 것으로 양측은 기대했다.

포스코과 현대제철은 지난달 시범운영을 마치고 이번 달부터 복화운송에 들어갔으며, 적용 대상량을 당초 계획인 연 24만t 수준에서 최대 60만t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포스코 김광수 물류사업부장은 "이번 협약은 철강업계 물류 부문의 첫 코피티션(협력과 경쟁의 합성어) 사례"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원가 경쟁력 강화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원료부터 설비, 물류까지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면서 "타업종과도 협력해 친환경 경영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