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말8초는 `청약철`..."시중자금 100조 움직인다"
초대형 기업공개(IPO)인 크래프톤과 카카오페이의 일반 공모주 청약 일정이 같은 주에 몰리면서 전산망 장애 등 투자자 불편 우려가 커지고 있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과 카카오페이의 일반 청약이 8월 첫째 주에 연속해서 잡히면서 관련 증권사들이 긴장하고 있다.

크래프톤 청약은 8월 2~3일 진행되며 이어 곧바로 카카오페이 청약이 4~5일 열린다.

이들은 희망 공모가 상단 기준 시가총액이 크래프톤 24조3천512억원, 카카오페이 12조5천512억원에 이르는 초대형 종목이어서 8월 첫째 주는 역대 최대 규모의 `슈퍼 청약 주간`이 될 예정이다.

게다가 1주 전인 오는 26~27일에는 공모가 기준 시총이 최대 18조5천289억원에 이르는 카카오뱅크 청약도 예정돼 있어 기업가치 10조원 이상 거대 공모주 3개의 청약이 2주 안에 몰린 상황이 됐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통상 대형 공모주들은 흥행을 고려해 상장 시기가 서로 떨어지도록 일정을 잡는다"며 "이렇게 큰 종목들의 IPO가 1~2주 안에 집중된 것은 국내 증권업계에서 듣도 보도 못한 초유의 사례"라고 밝혔다.

당초 크래프톤은 이달 14~15일에 청약을 진행하기로 했으나, 공모가가 과도하다는 논란 속에 금융감독원의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로 일정이 미뤄지면서 청약 기간이 카카오페이와 이어지게 됐다.

이에 따라 양사 청약에 모두 참여하려는 투자자들의 상당한 불편이 예상된다. 투자자들이 낸 청약 증거금은 통상 청약 마감으로부터 2영업일 뒤 반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크래프톤 청약에 참여한 투자자는 증거금을 카카오페이 청약 마감일인 5일에나 돌려받을 수 있다.

앞서 지난 4월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청약에 역대 최대인 89조9천17억원의 증거금이 몰린 바 있다.

SKIET IPO 규모가 공모가 기준 시총 7조5천억원으로 크래프톤이나 카카오페이에 크게 못 미친 점, 크래프톤이 여러 증권사 중복 청약이 가능한 마지막 종목임을 고려하면 8월 첫째 주에 움직일 증거금 규모는 100조원을 훌쩍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막대한 자금이 크래프톤 청약에 몰렸다가 8월 5일 투자자에게 반환되고 다시 카카오페이 청약을 위해 입금되는 과정에서 북새통이 빚어질 수 있다.

앞서 카카오게임즈, SK바이오사이언스, SKIET 등 대어급 공모주 청약 과정에서 전산망 이용량 급증으로 청약 신청 처리나 자금 입·출금이 지연되는 등 잦은 전산 장애로 고객들이 큰 불편을 겪은 바 있다.

다만 카카오페이의 경우 국내 기업공개(IPO) 사상 처음으로 일반 청약자 몫 물량 100%를 균등 배정하기로 해 전체 증거금 규모는 크래프톤보다 대폭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계좌별로 증거금 100만원만 내면 동등하게 주식을 배정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처럼 청약 문턱이 파격적으로 낮아지면서 소액 투자자들의 참여가 급증할 것이 확실시되는 데다 더 많은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친인척 등 명의 계좌를 총동원하는 투자자도 적지 않을 것이어서 청약 참여 계좌 수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전산 트래픽 폭증으로 전산 장애가 빚어질 가능성이 더욱 커질 수 있어 관련 증권사들이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전체 증거금 규모보다도 참여 계좌 수가 전산 트래픽 발생에서 중요하다"며 "계좌 수가 크게 늘면 트래픽도 급증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SKIET 청약 당시 자금 이체 장애가 빚어진 것처럼 이번에도 전산망 과부하로 온갖 시나리오가 다 빚어질 수 있다"며 "증권사들은 그간 대형 공모주 청약 경험으로 나름 준비를 하고 있겠지만 자금 입·출금 통로인 은행 전산망 쪽은 트래픽 급증에 대비가 돼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최진욱기자 jwchoi@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