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대세'·익숙한 곳 정착 신중한 경향…"안정적 정착 지원 강화" 지난해 귀농어·귀촌 가구 수가 3년 만에 반등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30대 이하 귀촌인은 48%에 육박했고 30대 이하 귀농 가구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많았다.
귀농어·귀촌은 가깝거나 익숙한 곳에 정착하는 경우가 많았고 1인 가구 비중이 70% 이상으로 신중한 경향을 띠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24일 내놓은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어·귀촌 가구 수는 35만8천591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의 32만9천986가구보다 8.7% 늘어난 수치다.
귀농어·귀촌 가구는 2017년 34만7천665가구에서 2018년 34만1천221가구, 2019년 32만9천986가구로 2년 연속 줄었다가 이번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특히 귀농과 귀촌이 9% 안팎 늘면서 귀농어·귀촌 가구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대로 나타났다.
◇ 귀농·귀촌 가구 활발…가구원 수는 감소, 남성 60.9%·여성 39.1%
유형별로 보면 지난해 귀농가구는 1만2천489가구로 전년보다 9.3% 증가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40명으로 0.02명 줄었다.
귀농가구주의 성별 구성비는 남성 67.9%, 여성 32.1%이었다.
귀농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55.3세로 집계됐다.
연령별 구성비는 50대가 35.0%로 가장 많았고 60대 32.5%가 뒤를 이었다.
30대 이하 귀농 가구는 1천362가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귀농인이 많은 의성, 상주, 고흥, 화순, 임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동일 지역 내, 연고지 등 익숙한 곳, 영농 기반 마련이 쉬운 곳으로 귀농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어가구는 897가구로 전년보다 0.8% 줄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33명으로 0.04명 감소했다.
귀어가구주의 성별 구성비는 남성 68.8%, 여성 31.2%였다.
귀어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52.8세이며 연령별 구성비는 50대 35.7%, 60대 25.1% 순이었다.
귀촌가구는 전년보다 8.7% 늘어난 34만5천205가구를 기록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38명으로 0.02명 줄었다.
귀촌가구주의 성별 구성비는 남성 60.9%, 여성 39.1%였다.
귀촌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45.1세로 귀농·귀어가구보다 10세가량 적었다.
연령대별 구성비 역시 30대(22.6%)와 20대(20.7%) 비중이 43.3%에 달했다.
귀촌가구의 전입사유는 직업 34.4%, 주택 26.5%, 가족 23.4% 순이었다.
정부는 "귀농·귀촌 인구 증가는 지난해 국내인구 총이동량 증가, 저밀도 농촌 생활에 대한 관심 증가, 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며 "특히 청년농에 대한 지원, 청년 인구유입 정책의 성과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 1인 가구 비중 70% 넘어…30대 이하 귀촌인 절반 육박
귀농어·귀촌 가구별 1인 가구 비중은 귀농가구 74.1%, 귀어가구 77.6%, 귀촌가구 74.7%로 각각 집계됐다.
귀농가구원으로만 구성된 단일가구는 87.2%, 거주자와 귀농가구원이 함께 가구를 구성한 혼합가구는 12.8%였다.
귀농가구원은 1만7천447명으로 전년보다 7.8% 늘었다.
귀농인 중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전체의 68.6%를 차지했고, 다른 직업 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겸업 농업인은 31.4%였다.
귀어가구원으로만 구성된 단일가구는 75.1%, 어촌지역 거주자와 귀어가구원이 함께 가구를 구성한 혼합가구는 24.9%였다.
귀어가구원은 1만197명으로 전년보다 3.0% 감소했다.
귀어인 중 어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어인 비중은 67.3%, 다른 직업 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겸업 귀어인 비중은 32.7%로 나타났다.
귀촌가구원만으로 구성된 단일가구는 72.5%, 농어촌지역 거주자와 귀촌인이 함께 가구를 구성한 혼합가구는 27.5%였다.
귀촌인은 47만7천122명으로 전년보다 7.3% 늘었다.
평균 연령은 42.25세이고, 연령대별 구성비는 20대 이하가 26.3%, 30대가 21.6%로 30대 이하가 전체의 47.9%를 차지했다.
귀촌 전 거주지역은 경기가 25.5%로 가장 많고, 서울 14.4%, 경남 7.3%가 뒤를 이었다.
정부는 귀농귀촌 통계조사 결과의 흐름과 특성에 맞춰 하반기에는 신중한 귀농을 위한 사전 준비 지원, 귀촌인의 다양한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정착지 특성을 반영한 지역별 자율 프로그램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특히 언택트(비대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인구 저밀도 지역 선호 등 생활양식이 변하면서 귀농·귀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는 만큼, 농업·농촌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하는 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늘려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