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달 만에 작년 10배 수주…압도적인 `K-조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 조선업계가 석 달 만에 작년의 10배에 달하는 수주를 따내며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 코로나19 여파로 10%대에 머물렀던 수주 점유율도 올해는 절반을 훌쩍 넘으며 경쟁국을 압도하고 있다.
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에서 총 1천24만CGT(표준선 환산톤수·323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532만CGT(126척)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지난해 1분기 전 세계 발주량 397만CGT 중 55만CGT를 가져가는 데 그쳤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주량이 10배로 급증한 것이다.
또 14%에 그쳤던 수주 점유율도 올해 1분기 52%까지 치솟았다. 올해 들어 전세계에서 발주된 선박의 절반 이상을 한국이 가져간 셈이다.
이러한 호실적은 `빅3` 수주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세계 1위 조선업체인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 총 68척, 55억 달러(해양플랜트 제외)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액 149억 달러의 37%를 달성했다.
또 1월 14척(14억2천만 달러), 2월 24척(15억4천만 달러), 3월 30척(25억2천만 달러) 등 매월 수주량도 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이달 대만 선사 에버그린으로부터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을 한 번에 수주하는 등 현재까지 총 42척, 51억 달러의 실적을 기록 중이다. 벌써 올해 목표 78억 달러의 65%를 채웠다.
지난해 1분기 삼성중공업 수주물량이 셔틀탱커 3척(3억 달러)에 그쳐 목표 달성률이 3.6%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큰 차이다.
대우조선해양도 이달 초 수주한 LNG 이중연료 추진 VLCC 10척(1조1천억원)을 포함해 현재 총 19척(17억9천만 달러)을 수주해 올해 목표(77억 달러)의 23%를 달성했다.
`빅3`의 올해 1분기 수주금액을 모두 합하면 14조 원에 육박한다.
조선업계는 해상물동량 회복, 운임 인상 등으로 글로벌 발주 환경이 호전된 데 더해 국제해사기구(IM0)의 환경 규제로 친환경 선박 발주가 증가한 것이 한국에 호재로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미뤄졌던 발주가 몰린 면도 있지만 친환경 선박 발주를 원하는 선주들도 한국 조선소를 잇달아 찾고 있다"면서 "그동안의 기술 투자가 빛을 발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전략부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해 1분기 코로나19 여파로 10%대에 머물렀던 수주 점유율도 올해는 절반을 훌쩍 넘으며 경쟁국을 압도하고 있다.
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세계에서 총 1천24만CGT(표준선 환산톤수·323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532만CGT(126척)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지난해 1분기 전 세계 발주량 397만CGT 중 55만CGT를 가져가는 데 그쳤다. 1년 전과 비교해 수주량이 10배로 급증한 것이다.
또 14%에 그쳤던 수주 점유율도 올해 1분기 52%까지 치솟았다. 올해 들어 전세계에서 발주된 선박의 절반 이상을 한국이 가져간 셈이다.
이러한 호실적은 `빅3` 수주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세계 1위 조선업체인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 총 68척, 55억 달러(해양플랜트 제외)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액 149억 달러의 37%를 달성했다.
또 1월 14척(14억2천만 달러), 2월 24척(15억4천만 달러), 3월 30척(25억2천만 달러) 등 매월 수주량도 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이달 대만 선사 에버그린으로부터 초대형 컨테이너선 20척을 한 번에 수주하는 등 현재까지 총 42척, 51억 달러의 실적을 기록 중이다. 벌써 올해 목표 78억 달러의 65%를 채웠다.
지난해 1분기 삼성중공업 수주물량이 셔틀탱커 3척(3억 달러)에 그쳐 목표 달성률이 3.6%에 그쳤던 것을 고려하면 큰 차이다.
대우조선해양도 이달 초 수주한 LNG 이중연료 추진 VLCC 10척(1조1천억원)을 포함해 현재 총 19척(17억9천만 달러)을 수주해 올해 목표(77억 달러)의 23%를 달성했다.
`빅3`의 올해 1분기 수주금액을 모두 합하면 14조 원에 육박한다.
조선업계는 해상물동량 회복, 운임 인상 등으로 글로벌 발주 환경이 호전된 데 더해 국제해사기구(IM0)의 환경 규제로 친환경 선박 발주가 증가한 것이 한국에 호재로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미뤄졌던 발주가 몰린 면도 있지만 친환경 선박 발주를 원하는 선주들도 한국 조선소를 잇달아 찾고 있다"면서 "그동안의 기술 투자가 빛을 발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전략부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