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설립 위해 10일 만에 약 2000명 몰려
29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는 지난 19일부터 현대차 사무직·연구직 노조 설립을 위해 약 2000명의 현대차그룹 직원들이 모였다. 이곳에는 현대차그룹 소속임을 증명하고 회사명, 직위, 근무지 등을 밝혀야 입장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사무직·연구직 직원들은 생산직 중심의 노사 교섭에 불만을 느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던 와중에 이번 성과급 논란이 노조 설립의 불씨를 지핀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지난해 임금단체 협상(임단협)이 생산직 근로자 위주로 진행된 탓에 사무직과 연구직 직원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자동차 업계 위기감이 고조된 가운데 임단협이 길어지면 성과급을 받지 못할 것을 우려한 생산직 직원들이 기본급을 동결하고 성과급 협상에 소극적이었다는 주장이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해 기본급을 동결하고 성과급 150%, 코로나19 격려금 120만원으로 임단협을 마무리했다. 이는 전년도의 기본급 4만원 인상, 성과급 150%+300만원 지급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나날이 늘어가는 매출에도 직원들의 임금은 후퇴한 점도 직원들의 불만이 가중된 이유다.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의 매출액은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현대차 직원 1명의 평균 월급은 2019년보다 800만원 줄어든 8800만원에 그쳤다.
이와 함께 일부 사무직·연구직 직원들은 그간 노사 교섭이 생산직 직원들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 사무직·연구직의 임금 인상 요구는 항상 뒷전으로 밀려났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별도 노조 설립을 통해 사무직·연구직의 권익 지키기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현대차는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50.9%)을 생산직 근로자가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움직임이 실제 노조 설립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현대차그룹이라는 한 지붕 아래 있지만 소속 법인이 다르다는 점 등 현실적인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는 SK하이닉스에서 시작된 MZ세대(밀레니얼 세대+1995년 이후 태어난 Z세대)의 성과급 논란이 대기업을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된 결과다. 이들은 보상체계 산정 방식에 불만을 제기하며 객관적인 기준 공개와 함께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대차 역시 진통을 겪고 있다.
앞서 지난 16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취임 후 직원들과 소통을 위해 가진 처음 가진 '타운홀 미팅'의 최대 화두는 성과급이었다. 미팅에 앞서 받은 질문에는 성과급 관련 질문이 가장 많은 추천 수를 받았다. 연구직과 생산직을 구분해 성과급 지급 기준을 다르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장은 이와 관련 "기존에 했던 보상 방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전체 직원의 눈높이를 좇아가지 못했다는 점도 알게 됐다"며 "올해 안에 성과와 보상에 대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달래기에 나섰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