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항만 업계에 따르면 인천∼중국 10개 항로 카페리는 지난해 1월 말부터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여객 운송을 전면 중단한 채 컨테이너 화물만 수송하고 있다.
카페리선은 1척당 최대 370∼1천500명의 여객과 145∼35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의 컨테이너를 함께 나르지만, 여객 운송이 완전히 끊기면서 1년 넘게 사실상 컨테이너 화물선 기능만 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6월 송도국제도시 9공구에 새로 문을 연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은 9개월째 여객 없이 매월 3만7천∼4만2천TEU의 컨테이너 화물 수출입만 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인천∼중국 10개 항로 카페리는 전년보다 2%가량 늘어난 총 43만7천TEU의 화물을 수송했다.
올해 들어서는 양국 간 교역이 증가하면서 1∼2월 처리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급증했다.
이에 따라 올해 1월의 경우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는 월 2만1천여대의 컨테이너 차량과 2만7천여대의 5t 이상 대형 화물차가 드나들며 수출입 화물 처리 측면에서는 터미널 기능이 거의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송도국제도시 9공구에 자리 잡은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운항하는 인천∼중국 카페리의 주된 여객은 쇼핑관광을 위주로 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과 일명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소상공인들이다.
전체 여객 중 순수 관광객이 아닌 보따리상이 30% 이상을 차지하지만, 한중 카페리 선사들에게는 이들을 포함한 여객 운송 수입이 회사의 현금 유동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중 카페리 선사들은 일반적으로 총매출의 70% 정도를 컨테이너 수송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30%를 여객 운송 수입으로 채운다.
화물 수송으로만 코로나19 위기를 겨우 버티고 있는 카페리 선사들은 올해 하반기에도 여객 운송 재개가 불투명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 선사 관계자는 "한국과 중국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지만, 언제쯤 카페리 여객 운송이 재개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올해 들어 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많이 늘었지만, 운임 조정은 거의 이뤄지지 않아 선사들의 경영난이 여전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