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대 디자인 "생활·위생용품 뜨고 뷰티·쥬얼리 지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스크 출원, 2017∼2019년 연평균 377건서 작년 2천444건으로 548.3%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대면·비접촉 생활의 일상화가 디자인 출원 추세도 바꿔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용품, 취미 오락·운동용품 디자인 출원은 늘고, 미용·잡화 등 신변용품과 직물류 등 기초제품 출원은 감소했다.
2017∼2019년 생활용품 디자인은 연평균 6천840건이 출원됐지만, 지난해에는 9천199건으로 3년 평균 대비 34.5% 증가했다.
취미 오락·운동용품도 같은 기간 2천907건에서 3천42건으로 4.6% 늘었다.
반면, 미용·잡화 등 신변용품은 9천306건에서 8천926건으로 4.1% 감소했고, 직물 등 기초제품은 5천772건에서 4천863건으로 15.7% 급감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코로나 시대를 겪으며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된 마스크는 같은 기간 377건에서 2천444건으로 무려 548.3% 급증했다.
방역 게이트, 소독용 부스 등 현장 방역용품 디자인은 평균 39건이 출원됐지만, 지난해에는 217건으로 456.4% 증가했다.
가정용 살균소독기, 피부관리기 등 실내 위생용품 디자인도 1천355건에서 3천857건으로 184.6% 늘었다.
반면, 코로나19로 외출이 줄어들면서 쥬얼리 등 장신구는 같은 기간 3천277건에서 2천578건으로 21.3% 감소했다.
화장용품은 1천232건에서 978건으로 20.6% 줄었고, 신발 및 가방 디자인 출원은 각각 7.7%와 6.1% 감소했다.
특허청 생활디자인심사과 박현 심사관은 "코로나 팬데믹이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이런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대면·비접촉 생활의 일상화가 디자인 출원 추세도 바꿔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해 생활용품, 취미 오락·운동용품 디자인 출원은 늘고, 미용·잡화 등 신변용품과 직물류 등 기초제품 출원은 감소했다.
2017∼2019년 생활용품 디자인은 연평균 6천840건이 출원됐지만, 지난해에는 9천199건으로 3년 평균 대비 34.5% 증가했다.
취미 오락·운동용품도 같은 기간 2천907건에서 3천42건으로 4.6% 늘었다.
반면, 미용·잡화 등 신변용품은 9천306건에서 8천926건으로 4.1% 감소했고, 직물 등 기초제품은 5천772건에서 4천863건으로 15.7% 급감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코로나 시대를 겪으며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된 마스크는 같은 기간 377건에서 2천444건으로 무려 548.3% 급증했다.
방역 게이트, 소독용 부스 등 현장 방역용품 디자인은 평균 39건이 출원됐지만, 지난해에는 217건으로 456.4% 증가했다.
가정용 살균소독기, 피부관리기 등 실내 위생용품 디자인도 1천355건에서 3천857건으로 184.6% 늘었다.
반면, 코로나19로 외출이 줄어들면서 쥬얼리 등 장신구는 같은 기간 3천277건에서 2천578건으로 21.3% 감소했다.
화장용품은 1천232건에서 978건으로 20.6% 줄었고, 신발 및 가방 디자인 출원은 각각 7.7%와 6.1% 감소했다.
특허청 생활디자인심사과 박현 심사관은 "코로나 팬데믹이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이런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