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 44대 대통령이 된 버락 오바마는 대선 후 승리 연설에서 수많은 청중들에게 다음과 같은 표현을 썼다. “ Disabled(장애인)와 Not disabled(장애인이 아닌 사람)” 우리 사회가 정상인과 대비한 개념으로서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을 장애인으로 묘사한 것과는 큰 차이가 아닐 수 없는 것이어서 잔잔한 감동을 느꼈다. 아니 너무도 평범한 말이었지만 신선한 충격에 가까웠다. 왜 사람들이 오바마의 연설에 열광하는 가를 느끼는 순간이기도 했다. 나아가 그의 연설 속에 나오는 장애인과 장애인이 아닌 사람은 마치 주류로서의 장애인이 비주류인‘장애인이 아닌 사람’이 어떻게 행동해야할 지를 말하는 것 같아서 앞으로 벌어질 미국 사회의 변화를 실감하는 듯했다.

인간은 부모에게 물려받은 유전성 질환으로 선천적 장애인일 수도 있고, 노출된 환경에 따라 후천적으로 장애인이 될 수도 있다. 스스로 장애인이 되고 싶은 사람은 엄청난 고행을 낙으로 삼는 일부 종교인 외에는 없을 것이다.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애라는 것은 잘못이 아니고, 잘못이 아니기 때문에 부끄러움의 대상도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분히 차별적인 어조를 띤 정상인과 장애인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닌, 장애인과 장애인이 아닌 사람으로 사회의 구성원을 바라다보는 오바마의 관점은 많은 지지자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관점을 달리하면 수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감동을 줄 수 있음을 그는 우리에게 잘 보여 주었다.

세상은 관점의 차이를 이해하면 얼마든지 아름다워질 수 있다. 서로 다른 관점의 차이 때문에 싸움도 하고, 시위도 하고, 서로를 공격하기도 한다. 그것이 국가간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차이라면 전쟁도 불사한다. 싸움과 전쟁의 결과는 상대방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된다. 사소한 관점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우리에게 남는 것은 고통과 후회 밖에 없다.

같은 사회에서도 관점의 차이 때문에 사회적 분열현상이 발생하는데, 언어가 다르고 문화가 다른 해외 고객을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다보면 참으로 많은 관점의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파는 쪽에서는 완벽하다고 생각하는데, 해외 고객은 정반대로 생각하여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도 있고, 파는 쪽에서는 고객의 입장에 서서 한걸음 나아가 판단했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해외 고객은 그 선의의 판단 자체를 문제시 하는 경우도 있다.

관점의 차이는 비단 국내외를 막론한 고객과의 관계에서만 더 심각한 것은 아니다. 같은 목표를 추구하고 있는 직장 동료들 사이에서도 관점이 차이 때문에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도 있고, 오랜 기간동안 반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관점이란 자신의 위치에서 보는 방향만 다를 뿐이지 모두 하나라는 것이다. 마치 정상인과 장애인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사회문제인 것처럼 들리지만, 장애인과 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양자는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치다.

한국인이 새해라고 여기는 관점에서의 진정한 새해가 밝았다. 올 해는 관점이 차이를 서로 이해하는 한국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말하는 관점으로 생각한다면, 가난한 자와 많이 가진 자의 관점이 아닌 가진 자와 조금 더 가진 자의 관점으로, 일하는 노동자와 노동을 사는 사용자의 관점이 아닌 솔선수범 하는 자와 솔선수범의 이익을 나누어 가지는 자의 관점으로 이 사회를 바라다보면 좋겠다. 장애인과 장애인이 아닌 자라는 포용의 관점이 우리 사회에서 싹트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 그렇게 될 때 우리 사회에도 진정한 변화의 바람이 불어 올 것이다. 그리고 변화는 서로 다른 관점의 차이를 존중하는 것에서 생겨남을 깨닫는 성숙한 사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이 칼럼은 2월 2일자 서울신문 글로벌 시대 코너에 실린 본인의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