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중엔 2018년 액면분할 후 첫 40만원 돌파하기도
[특징주] 네이버, 쿠팡 효과?…4일 연속 상승 마감(종합)
네이버가 1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4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이날 네이버는 전날보다 2.20%(8천500원) 오른 39만4천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9일부터 4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이다.

지난해 말 29만2천500원에 마감한 것을 감안하면 올해 들어서만 30% 이상 오르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날은 장중 40만5천원까지 치솟으며 2018년 10월 액면분할(500원→100원) 이후 처음 40만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시가총액도 64조7천억원으로 불어나며 시총 3위 LG화학(69조원)을 바짝 추격했다.

네이버 주가의 이런 상승은 우선 실적 호조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5조3천41억원, 영업이익 1조2천153억원을 올렸다고 지난달 28일 공시한 바 있다.

2019년보다 각각 21.8%, 5.2% 증가한 역대 최고치다.

여기에 뉴욕증시 입성을 앞둔 '쿠팡의 효과'라는 분석도 나온다.

삼성증권은 "지난 1월까지만 해도 300억달러(약 33조원)에서 회자되던 쿠팡의 예상 시가총액이 한 달 만에 500억달러(약 55조원)까지 상승했다"며 "쿠팡이 이처럼 높은 가치를 평가받으며 한국 이커머스의 사업성이 재조명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는 쿠팡뿐만 아니라 성공적으로 이커머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다른 국내 업체에 대해서도 가치 제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박은경·오동환 연구원은 "지난해 쿠팡과 네이버쇼핑의 거래액은 각각 22조원, 27조원으로 네이버쇼핑이 쿠팡을 25% 상회한다"며 "네이버 쇼핑 역시 제휴 기반 물류 네트워크 구축과 라이브커머스 시장 선점, 네이버 파이낸셜과의 시너지 등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요소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를 감안하면 네이버 커머스의 기업 가치도 쿠팡의 밸류에이션에 준하는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며 "쿠팡이 30조~50조원에 상장될 경우 2020년 거래액 대비 기업 가치는 1.4~2.3배 수준으로, 네이버 커머스의 기업 가치도 최소 29조원 이상으로 평가받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