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상도 회의 참가…수해복구 성과와 향후 국토관리 軍 주도 의지 반영한듯
'수해 고통' 북한, 국토관리회의서 물관리·치산치수 결함 지적
지난해 극심한 수해를 겪은 북한이 국토관리 회의를 열고 물관리와 치산치수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15일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4일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화상으로 '산림복구 전투와 국토관리 총동원사업정형 총화회의'를 열고 이 같은 문제점을 비판 분석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중소하천 정리와 물관리 사업을 제대로 하지 않아 농업생산에 적지 않은 피해를 준 문제, 여러 부문·단위에서 치산치수·생태환경 보호사업을 제대로 하지 않은 문제, 해안방조제를 비롯한 해안시설물들을 제때 건설·보강하지 못한 문제" 등이 주요 결함으로 지목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수해지역 시찰 내용과 피해 복구에 동원된 평양시 당원·군인의 모습을 담은 멀티미디어 자료도 상영됐다.

산림복구와 평양 도심의 '보통강 유보도' 리모델링 공사, 강원도 문천군민발전소 건설 등 성과도 상영 자료에 포함됐다.

이번 회의에는 김덕훈 내각 총리와 오수용 당 경제비서 겸 부장 등 당·정 고위간부 뿐 아니라 김정관 국방상을 비롯한 군 간부들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이 산림녹화 정책을 강화해온 데다 지난해 홍수 이후 후속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김 국방상이 참석한 것은 군이 수해 복구에 대거 동원돼 성과를 냈을 뿐 아니라 이후에도 국토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지난달 제8차 당대회에서 군이 "군사적 위협뿐 아니라 돌발적인 비군사적 위협으로부터도 조국과 인민을 철벽으로 보위하는 국가방위의 주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지난해 7∼9월 장마와 태풍으로 주거지와 농경지 등이 대거 침수돼 큰 피해를 봤다.

통일부는 북한의 농경지 풍수해 규모를 약 3만9천 정보(약 39㎢)로 집계했다.

농촌진흥청은 수해 등으로 북한의 지난해 쌀 생산량이 전년보다 9.8% 줄었을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입을 우려한 듯 수해 복구 과정에서 외부 지원을 받지 말라고 지시했다.

북한은 이날 회의에서도 "그 어떤 외부적인 지원이나 도움이 없이도 우리의 힘과 기술, 자원으로 이 땅 위에 사회주의 강국을 건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