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시장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인 제조업 국내 공급이 3년 연속 줄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의복, 화장품 등 소비재와 다른 상품의 부품으로 들어가는 중간재가 감소한 영향이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및 연간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3.6(2015년=100)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2018년(-0.7%)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0년 이후 처음 감소한 데 이어 2019년(-0.8%)과 지난해까지 3년 연속 감소한 것이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가액(실질)을 나타낸 것으로, 내수 시장의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국산은 2.3% 감소했고, 수입은 2.6% 증가했다.

재화종류별로 보면 최종재 국내 공급은 전년 대비 2.8% 늘었다.

최종재 가운데 개인 또는 가계에서 구입, 사용되는 제품을 말하는 소비재 공급은 0.3% 줄었는데 2010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첫 감소다.

이에 비해 각 산업에서 생산 관련 활동에 1년 이상 사용되는 기계장비를 의미하는 자본재 공급은 7.5% 증가했다.

중간재 공급 역시 3.4% 줄었다.

중간재는 광공업과 다른 산업의 원재료, 연료, 부품 등으로 투입되는 재화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화장품, 정장 등 의복이 많이 감소했다"며 "수출이 부진하고 전반적으로 제조업 생산이 감소하면서 중간재도 감소했고, 자본재의 경우 반도체 업종의 시설투자가 이뤄지면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기계장비(7.0%)가 증가했지만 1차금속(-8.0%)과 금속가공(-4.9%)은 감소했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이 포함된 기계장비는 2018년(-6.4%)과 2019년(-10.3%)에 2년 연속 감소하다가 플러스로 전환했다.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수입점유비)은 27.3%로 1.0%포인트 올랐다.

최종재의 수입점유비를 보면 소비재는 1.0%포인트 상승하고 자본재는 2.8%포인트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 1.8%포인트 오른 29.6%를 기록했다.

중간재의 경우 25.5%로 0.2%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4분기만 따로 보면 제조업 국내공급은 수입은 늘었으나 국산이 줄어 전년 동기보다 1.1% 감소했다.

이로써 지난해 2분기(-4.5%), 3분기(-0.2%)에 이어 세 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최종재의 경우 3.7% 감소했다.

소비재는 휴대용전화기, 내비게이션 등이 줄어 1.2% 감소했고, 자본재는 컨테이너선, 전력선 등이 줄어 7.3% 줄었다.

중간재는 시스템반도체, D램 등이 늘어 0.9%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8.0%) 등은 증가했으나 기타운송장비(-52.2%), 석유정제(-11.9%), 의복 및 모피(-11.2%) 등이 감소했다.

수입점유비는 전년 동기 대비 1.3%포인트 오른 26.8%를 기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