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억5천만달러 기록…신산업·환경 투자 늘고 소부장은 소폭 줄어
지난해 한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11% 이상 줄었지만, 6년 연속 200억달러를 넘기며 선방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0년 FDI가 신고 기준 207억5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11.1% 감소했다고 12일 밝혔다.

실제 투자 도착 기준으로는 17.0% 줄어든 110억9천만달러를 기록했다.

FDI는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상반기 큰 폭(-22.4%)으로 감소했으나 하반기에 감소 폭이 2.8%로 줄며 회복세를 나타냈다.

FDI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2018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다.

다만 작년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 FDI가 크게 위축된 가운데 우리나라 실적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엔 무역투자개발회의(UNCTAD)는 2020년 세계 FDI가 전년 대비 30∼40%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작년 상반기 세계 FDI는 3천990억달러로 전년 동기(7천770억달러)보다 49% 줄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경제 위기 상황에도 6년 연속 200억달러대 FDI를 유치하며 안전한 투자처임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FDI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친환경차, 바이오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신산업 분야 투자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해당 분야의 신고 기준 투자 규모는 84억2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9.3% 늘었으며,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40.6%) 역시 7.6%포인트(p) 커졌다.

주요 사례를 보면 데이터센터 증설과 신선 식자재 콜드체인(냉장유통) 물류시스템 고도화, 난소암과 췌장암 등 희귀질병 항암·면역 치료제 개발 등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다.

반도체, 이차전지, 친환경차 부품 등 첨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투자는 신고 기준 38억1천만달러로 7.0% 감소했다.

다만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4%로 1.2%포인트 확대됐다.

소부장 분야 투자는 상반기에 무려 43.7% 급감했으나 하반기에 30.9%나 증가하며 연간 감소 폭을 완화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진공펌프, 가스처리장치 장비 생산과 전기자동차 전용 배터리 팩 생산공장 신축, 일본 수출규제 품목인 EUV용 포토레지스트 개발·생산 등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다.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와 수처리, 자원재순환 등 녹색산업 관련 분야의 투자액은 신고 기준 4억8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101.4% 늘었다.

기존 외투기업의 미처분이익잉여금을 활용한 투자 신고 사례도 총 7건(1억달러 규모) 있었다.

정부는 작년 8월부터 외국인투자촉진법을 개정해 국내에 이미 투자한 외국기업이 미처분 이익 잉여금을 다시 투자할 경우 이를 외국인투자로 반영하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 말레이시아 등 중화권 국가 투자가 신고 기준 54억6천만달러로 전년보다 26.5%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국은 신고 기준 투자액이 19억9천만달러로 102.8% 급증했다.

반면에 미국(53억달러)과 유럽연합(EU·47억2천만달러), 일본(7억3천만달러)은 각각 22.5%, 33.8%, 49.1% 감소했다.

일본의 투자 감소 폭이 큰 것은 코로나19 영향에 더해 2019년 성사된 5억달러 규모의 대형 인수합병(M&A)에 따른 기저 효과 때문이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UNCTAD는 올해 세계 FDI가 5∼10% 추가 감소하고, 내년 이후에야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침체 장기화와 미국 신(新)정부 출범,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현실화 등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투자 심리 위축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K-방역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처 인식, 광범위한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 높은 대외신용도 등 긍정 요인과 코로나19 불확실성 지속, 미중 기술패권 경쟁 심화 등 부정 요인이 상존해 올해 FDI 유치가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FDI 플러스 전환을 위해 미래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맞춤형 인센티브를 마련해 먼저 제안하는 등 첨단기술 보유 기업의 투자 유치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입지 혜택과 함께 보조금, 부지 이용 특례 등을 추가로 제공하는 '첨단투자지구'를 신설하는 한편
온라인 IR 플랫폼 확대 및 투자 애로 발굴·해소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