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미군에 통보…카투사 외 연합사 등 한국인도 포함 가능성
정부, 주한미군 백신 '한국인 접종' 허용…국내 1호는 카투사(종합)
주한미군에서 근무하는 한국군인 카투사가 조만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게 된다.

국방부는 30일 오전 주한미군이 반입한 코로나19 백신을 미군 내 한국인들도 맞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입장을 미군 측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대상자가 이상 반응 가능성, 치료 등 후속조치 방안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접종 여부를 자발적으로 선택한다는 전제에서 접종이 가능하다고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설명했다.

또 재접종 방지 및 이상 반응 이력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접종자 명단 제공도 이뤄진다.

부 대변인은 "주한미군 자체 계획에 따라 접종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접종은 이르면 이날 이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로선 한국군 병사 카투사와 한국인 군무원 등 주한미군 기지 내에서 근무하거나 생활해 미군 장병들과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인원부터 접종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미 미군이 백신 접종을 개시한 캠프 험프리즈(평택 미군기지) 내 '브라이언 올굿 병원'에서 근무하는 카투사 의무행정병 40여 명이 먼저 접종 대상자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일단 백신 종류나 접종 대상에 제한을 두지는 않았다.

1차 백신 물량을 보급받은 미군이 추후 백신을 추가로 반입할 계획인 만큼, 카투사 외에 한미연합군사령부 등 주한미군과 함께 근무하는 한국측 인원 전원이 포함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승겸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비롯한 연합사 소속 한국군 장성의 포함 관측도 나온다.

국방부도 접종 대상 확대와 관련해 "미측은 카투사 외에도 연합사단 본부, 한미연합사령부, 공군구성군사령부, 주한미군에 근접한 위치 내 임무를 수행하는 기타 인원 등도 접종 대상에 포함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미 미군 측은 연합사 등에서 근무하는 한국측 인원도 접종 대상에 포함하겠다는 의사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접종 후 이상 반응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를 통해 피해보상 제기가 가능하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다만 접종이 어디까지나 자발적인 만큼 실제로 피해보상을 받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부 대변인은 "이상 반응 발생 시에는 미군 병원에서 치료와 처치를 하며, 미국 보건부의 보상 프로그램을 통해 인과관계 입증을 전제로 피해보상 제기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