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팀 =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20% 수준의 연말 배당 성향을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주요 금융지주사들의 배당 성향보다 5∼7%포인트 안팎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만큼 은행권이 배당을 줄여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불확실성 대비해야"…금융당국, 은행권에 20% 배당성향 권고
20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은행권과 결산 배당 축소 방안을 놓고 협의 중이다.

배당 성향은 배당금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배당 성향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벌어들인 소득에서 주주들에게 그만큼 많이 돌려줬다는 얘기다.

작년 금융지주들의 배당 성향을 보면 우리금융 27%, KB금융 26%, 하나금융 26%, 신한금융 25% 등의 분포를 보였다.

금감원은 은행권과의 협의 과정에서 20% 안을 제시했다.

코로나19 사태라는 전례 없는 상황을 맞아 배당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게 금융당국의 인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고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대출 만기 연장으로 부실이 이연된 측면 등을 고려하면 은행권이 적정한 수준에서 배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주요국도 코로나19 사태 속 은행의 자본 건전성 악화를 우려해 배당 축소 방향으로 가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최근 2년간 순익 합계의 15% 이내 또는 보통주 자본의 0.2% 이내 가운데 더 낮은 기준에 맞춰 배당금을 주도록 지급 규모에 제한을 뒀다.

영국도 25% 이내의 배당 성향을 기준으로 정했다.

금융당국은 배당 축소가 추세인 만큼 국내 은행들도 예년보다 줄어든 배당 성향 권고안을 받아들일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일단 배당 성향을 낮췄다가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면 다시 배당을 늘리는 '조삼모사'식 방안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다른 관계자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작년과 같이 배당을 할 수 없다는 점을 은행들도 수긍하고 있다"며 "은행들이 배당 축소와 관련해 주주들을 설득하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일단 코로나19 시나리오별 충격을 견딜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재무 건전성 평가)가 끝나는 대로 최종안을 은행권에 전달할 방침이다.

"불확실성 대비해야"…금융당국, 은행권에 20% 배당성향 권고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