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제2차 연안여객선 현대화계획' 발표…도서지역 운항 선박 확대
2025년까지 연안여객선 선령 10년 이하로↓…노후선박 35척 대체
해양수산부는 연안 여객선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평균 선령을 10년 이하로 단축하고, 2025년까지 노후선박 35척을 교체한다.

해수부는 선박 현대화, 건조기반 현대화, 서비스 현대화를 위한 12개 추진과제를 담은 '제2차 연안여객선 현대화계획'(2021∼2025)을 16일 공개했다.

해수부는 영세한 선사도 새 선박을 건조하는 데 부담이 없도록 대출 심사를 우선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양진흥공사(해진공)가 연안 선사에 보증을 해주는 방안을 검토한다.

또 친환경 선박을 건조할 경우 정부의 대출 이자 지원율을 높이는 등 선종별로 이자 지원율을 다르게 하고 상환 기간도 개편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지난 8일 연안선박 현대화펀드의 정부지원 비율을 축소하는 대신 산업은행과 해진공이 대출과 보증을 지원하는 방안을 통해 연안 여객선 현대화 방안을 일부 공개한 바 있다.

해수부는 여객선이 정기적으로 운항하지 않는 도서지역은 부분 보조항로로 지정해 일반항로를 운항하는 연안여객선이 기항하도록 하는 대신 유류비나 운항장려금 등을 지급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 사람이 거주하는 465개 섬 중 정기적으로 기항하는 선박이 없고 연륙교도 설치되지 않은 곳은 73개(15.7%) 정도로 적지 않다.

2025년까지 연안여객선 선령 10년 이하로↓…노후선박 35척 대체
해수부는 전기추진 선박 등 친환경·고효율 선박도 2025년까지 10척을 건조한다.

액화천연가스(LNG)와 암모니아를 함께 활용하는 혼소 연료나 수소로 움직이는 선박에 대한 연구개발(R&D) 사업을 진행하고,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는 선박에 대해서는 각종 보조금이나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혜택을 줄 예정이다.

해수부는 이 같은 사업들을 통해 2025년까지 연안여객선의 선령을 평균 10년 이하로 낮추고 노후화한 연안여객선 35척을 새 여객선으로 바꿀 예정이다.

아울러 선박 이용객을 위해서는 QR코드로 여객선 내 비상구와 화장실 위치 등을 확인하는 시스템과 선내 무선인터넷(Wi-Fi) 구축을 검토한다.

국내의 모든 여객선을 연계해 이용요금의 일정 비율을 적립하고, 추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마일리지 시스템도 마련해 더 많은 관광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김준석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연안여객선은 섬 주민들의 유일한 이동 수단이자 일반 국민들의 중요한 관광수단"이라면서 "연안여객선이 가지는 공공성과 대중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안전과 서비스를 한층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년까지 연안여객선 선령 10년 이하로↓…노후선박 35척 대체
/연합뉴스